상반기 상장사, 역대급 장사했지만 이익률은 하락… 하반기도 부진 우려

상반기 상장사, 역대급 장사했지만 이익률은 하락… 하반기도 부진 우려

홍인기 기자
입력 2022-08-18 20:38
수정 2022-08-19 0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년 새 매출 25%, 영업익 16% 늘어
국내 은행 당기순이익은 10% 감소

국내 상장기업들이 올 상반기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는 등 안정적인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 등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하반기에는 기업들의 이익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8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12월 결산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603곳의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상반기 매출액은 1361조 870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보다 25.09%나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07조 3084억원으로 16.68% 늘었고, 순이익은 85조 8070억원으로 0.67% 증가했다.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수준이다.

다만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상반기 8.45%에서 올 상반기 7.88%로 떨어졌고, 매출액 대비 순이익률도 7.83%에서 6.30%로 하락했다. 1년 전에는 1000만원어치 상품을 팔아 78만원을 손에 쥐었다면 올해는 63만원으로 줄었다는 얘기다. 삼성전자를 제외한 상장기업의 상반기 매출액은 1년 전보다 25.77%, 영업이익은 12.96% 늘었다. 다만 순이익은 7.42% 줄었다.

모든 업종에서 매출액은 1년 전보다 늘었지만 건설업·전기가스업 등 2개 업종은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순이익 감소 업종은 2개 업종을 포함해 기계·서비스업·음식료품 등 5개다. 상반기 흑자를 낸 곳은 483곳(80.1%), 적자를 낸 곳은 120곳(19.9%)으로 집계됐다.

금융사는 증권·보험업을 중심으로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전체 43곳의 영업이익은 1년 전보다 8.58%, 순이익은 7.47% 줄었다. 코로나19 이후 고공행진하던 금융업의 실적 부진은 금융감독원이 이날 발표한 국내 은행 실적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금감원은 올 상반기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이 지난해보다 1조 1000억원(9.9%) 감소한 9조 9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은행들은 올 상반기 역대 최대 수준인 26조 2000억원의 이자이익을 거뒀다. 순이자마진(NIM)은 1.56%로 1년 전보다 0.12% 포인트 상승했고 잔액 기준 예대금리 차이는 1.98%로, 같은 기간 0.19% 포인트 확대됐다. 늘어난 대출과 예대마진 확대로 높은 이자이익을 가져간 것이다. 하지만 대손충당금 등 대손비용은 1년 전보다 1조 1000억원 늘었고, 주식시장 부진 등의 영향으로 비이자이익은 3조 2000억원 감소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지난 7월 14일부터 시행된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주차요금 50% 감면’ 제도가 공영주차장에서 안내 부실과 표기 누락으로 제도 취지가 제대로 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이 발의한 ‘서울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개정안은, 기존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던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80%)을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에게까지 확대(50% 감면)한 내용이다. 지난 7월 14일부터 감면이 적용됐음에도 8월 8일까지 감면 혜택을 받은 유족이 전무해, 주요 공영주차장 감면 안내표시를 확인한 결과, 감면 내용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매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서울시 공영주차장 128개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주차장 40개소를 확인하여 안내표지판에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요금 면’ 내용을 게시 조치했으나, 글씨가 작은 게시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설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점검 대상 40개소 중 ‘독립유공자 본인 주차요금 감면 80%’ 표기가 누락된 곳이 20곳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공공기간 부설주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2022-08-1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