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수의 심장’ 모였던 태영건설우 14% 하락… 워크아웃은 불씨 살려

‘야수의 심장’ 모였던 태영건설우 14% 하락… 워크아웃은 불씨 살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1-08 16:18
수정 2024-01-08 16: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 영등포구에 소재한 태영건설 본사. 2023.12.28 오장환 기자
서울 영등포구에 소재한 태영건설 본사. 2023.12.28 오장환 기자
본사가 심각한 위기를 겪는 상황에서도 ‘야수의 심장’(폭락장에서도 과감하게 주식을 사는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을 가진 이들이 몰리면서 연일 상한가를 기록했던 태영건설우(009415)가 상승세를 마쳤다.

태영건설우는 8일 전날보다 970원(-13.88%) 하락한 6020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마지막 장이 열린 지난달 28일 2885원이었던 태영건설우는 새해 들어 3연속 상한을 기록하며 지난 4일 6330원을 찍었다. 5일 660원 오른 6990원으로 마친 태영건설우는 이날도 7610원까지 올랐지만 오후부터 급격하게 빠지며 6020원에 거래를 마쳤다.

폭락장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일부 주식은 투기 세력이 몰려 이런 현상이 빚어지곤 한다. 누가 더 강한 심장을 지녔는지의 대결인데 섣불리 들어갔다가는 주식이 휴지 조각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태영건설(009410)은 전날보다 3.40% 오른 3195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에는 주가가 한때 20.71%오른 3730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지주사인 티와이홀딩스(363280)가 7.60%올랐고 티와이홀딩스우(36328K)는 상한선인 30%(2310원) 올랐다. 반면 태영건설이 소유한 SBS(034120)는 전 거래일보다 9.46% 떨어진 3만 1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과 관련해 강도 높은 자구책을 내놓지 않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남의 뼈를 깎는다”고 비판했던 태영그룹은 이날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중 채권단이 미이행했다고 판단한 890억원을 추가로 태영건설에 투입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3일 태영건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오후 3시 산업은행 본점에서 채권단 400여 곳을 상대로 설명회를 열어 참석자들이 설명회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4.1.3 안주영 전문기자
3일 태영건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오후 3시 산업은행 본점에서 채권단 400여 곳을 상대로 설명회를 열어 참석자들이 설명회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4.1.3 안주영 전문기자
태영그룹 지주사인 티와이홀딩스는 이날 논란이 된 890억원의 입금 사실을 공식화하고 “이로써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티와이홀딩스 지분 1133억원과 윤석민 회장 지분 416억원)을 태영건설에 직접 지원하겠다는 약속이행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계열사 블루원 담보제공 및 매각, 에코비트 매각, 평택싸이로 담보제공 등을 통해 태영건설을 지원하겠다는 나머지 자구계획도 성실히 이행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면서 티와이홀딩스는 채권단에 “태영건설이 무사히 워크아웃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그간 채권단과 금융당국은 태영 측이 890억원을 태영건설에 직접 지원하지 않으면 워크아웃 개시에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태영건설이 꺼져가던 워크아웃 불씨를 살린 가운데 채권단은 11일로 예정된 채권자협의회에서 워크아웃 개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워크아웃은 산업은행에 팩스 또는 이메일을 통해 동의 의사를 밝힌 채권단이 75%를 넘으면 개시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