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 지연·감소·취소 47.4%
발주 취소에 환율 급등으로 환손실도
“국가 대외 신인도 회복 방안 필요”

지난달 29일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연합뉴스
지난 3일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의 여파로 수출 중소기업 4곳 중 1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거래처들이 정치 불확실성을 이유로 계약을 미루거나 환율이 치솟으면서 환손실을 보기도 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0~13일 수출 중소기업 513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긴급실태 조사 결과 18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국내 정치상황의 불확실성으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봤다고 응답한 수출 중소기업은 26.3%로 집계됐다. 아직 피해가 없다고 답한 중소기업 중 63.5%도 앞으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가장 대표적인 피해 사례는 계약 지연, 감소 또는 취소(47.4%)로 조사됐다. 충북 청주에서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지난 3일 이후 해외 바이어들이 논의 중이던 계약들을 미루고 있고, 계약 선지급금 지불도 꺼려해 회사 경영상황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바이어의 문의 전화가 늘었거나(23.7%), 발주가 지연, 또는 취소(23.0%)되기도 했다. 부산에 거주하는 B씨는 “원래 이달 바이어가 방문 예정이었는데 연기됐다. 정치 불확실성을 이유로 발주를 내년으로 연기하겠다고도 통보받았다”고 토로했다.
환율 급등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답한 업체(22.2%)도 잇따랐다. 경북 칠곡의 한 제조업자는 “기존에 진행 중인 계약에 대해 환율이 오르니까 거래처에서 단가를 계속 낮추려고 한다”고 전했다. 비상계엄 직전 1402.9원이던 원달러 환율은 이날 오전 15시 20분 기준 1436.0원까지 치솟았다.
기업들은 피해 대응을 위해 국내 상황이 문제가 없다고 적극적으로 해명(51.7%)하고 있지만 마땅한 대응책이 없다(25.5%)고 응답하기도 했다.
중소기업들은 현재 상황 극복을 위해 정부가 국가 대외 신인도 회복 방안을 마련(74.7%)해달라고 촉구했다. 환율 안정화 정책(55.2%)이나 해외 판로 확대 지원(34.9%)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국가 신뢰도 하락과 환율 급등으로 인한 여파로 수출 중소기업들이 힘든 상황”이라면서 “무엇보다 대외신인도 회복과 환율 안정이 중요하다. 국회, 정부, 중소기업계가 한마음으로 협력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