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펀드, 주식형만 빼고 모두 자금유입

국내 펀드, 주식형만 빼고 모두 자금유입

입력 2015-01-06 07:47
수정 2015-01-06 07: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식형 펀드, MMF에도 추월 ‘굴욕’

지난해 국내 증시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주식형을 제외한 채권형, 혼합형, 파생형, 부동산형 등 모든 유형의 펀드에 자금이 크게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식형 펀드 설정액은 7년만에 처음으로 머니마켓펀드(MMF)에도 추월당하는 등 위상이 추락했다.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모든 유형 펀드의 설정액은 총 385조1천66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말보다 13.93%, 47조1천41억원 늘어난 것이다.

이로써 국내 모든 펀드의 설정액은 2012년 이후 3년째 증가세를 지속했다.

그러나 펀드 시장의 ‘간판’인 주식형 펀드 설정액이 쪼그라든 반면 MMF, 채권형 등 나머지 유형은 모두 증가해 유형별로 극심한 대조를 이뤘다.

주식형 펀드 설정액은 79조3천19억원으로 전년보다 7.23% 줄어 3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단기 부동자금이 모이는 MMF의 설정액은 82조3천678억원으로 24.05% 급증해 3년 연속 늘었다.

특히 주식형 펀드가 대중화된 지난 2007년 이후 7년만에 처음으로 주식형 펀드 설정액을 연말 기준으로 제쳤다.

이는 지난해 코스피가 4.8% 내리는 등 부진하자 증시에서 빠져나온 자금이 달리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부동자금 상태로 머문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지난해 코스피의 연간 변동률(연중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이를 전년도 종가로 나눈 값)도 사상 최저치인 10.5%로 떨어지면서 저가 매수세 유입마저 시들했던 것으로 보인다.

채권형 펀드도 설정액을 70조8천631억원으로 26.38% 늘리면서 펀드 시장의 주도권을 주식형 펀드에서 빼앗아오려는 태세다.

혼합형 펀드 중에서도 채권혼합형 펀드 설정액이 27조2천903억원으로 20.14% 성장한 데 비해 주식혼합형 펀드 설정액은 10조3천810억원으로 4.95% 느는 데 그쳤다.

재간접형 펀드 설정액은 16조3천400억원으로 56.71% 부풀었고 특별자산형 펀드와 파생형 펀드 설정액도 31조5천594억원, 34조1천894억원으로 16.15%, 5.36% 각각 증가했다.

부동산형 펀드 설정액은 29조6천98억원으로 21.88% 급증해 10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