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외인 매수 전환에 소폭 상승…1,980선 턱걸이

코스피, 외인 매수 전환에 소폭 상승…1,980선 턱걸이

입력 2016-11-17 17:03
수정 2016-11-17 17: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스피가 17일 5거래일 만에 ‘사자’로 돌아선 외국인과 개인 매수세에 힘입어 소폭 오르며 1,980선을 간신히 회복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0.90포인트(0.05%) 오른 1,980.55로 장을 마감했다.

앞서 지수는 3.44포인트(0.17%) 떨어진 1,976.21로 출발한 뒤 보합권에서 움직이며 장 초반 한때 1,968.80까지 내려갔다.

그러나 오후 들어 외국인이 ‘사자’로 돌아서면서 상승 흐름을 탔다.

간밤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 기대감에 따른 최근 상승세를 접고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0.29%)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0.16%)는 소폭 떨어졌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0.36%)만 소폭 올랐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의회 연설을 앞두고 있어 눈치보기 장세가 펼쳐졌다”면서 “외국인의 매매 흐름에 지수의 등락 폭이 결정됐다”고 분석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568억원어치를 사들이며 4거래일간 이어진 순매도 행진을 중단했다.

기관은 853억원을 순매도했다. 다만 연기금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전날 2천억원대를 순매수한 데 이어 이날도 856억원어치를 사들였다. 개인도 67억원을 순매수했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 모두 매수 우위를 보이면서 전체적으로 875억원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전체 코스피 거래대금은 3조4천832억원, 거래량은 2억6천715만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렸다.

의료정밀(3.45%), 보험(2.26%) 등은 오르고, 의약품(-1.27%), 전기가스업(-0.90%), 증권(-0.83%) 등은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주도 혼조세를 보였다.

대장주인 삼성전자(0.64%)를 비롯해 SK하이닉스(2.57%), 현대차(0.76%), 삼성생명(3.57%) 등은 올랐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이틀 연속 상승으로 시가총액이 30조5천33억원으로 늘어 한국전력(30조439억원)을 따돌리고 시총 순위 2위에 올라섰다.

이에 비해 한국전력(-1.06%), 삼성물산(-1.74%), 신한지주(-1.69%), KB금융(-1.70%) 등은 하락했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의 시행일이 2021년 1월 1일로 결정됐다는 소식에 삼성생명(3.57%)은 물론 미래에셋생명(8.13%), 한화생명(5.63%), 케이디비생명(6.08%) 등 보험주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보험사에 자본확충 부담을 안길 것으로 예상되는 새 회계기준 도입 시점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투자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0.07포인트(0.01%) 내린 627.76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1.22포인트(0.19%) 오른 629.05로 출발한 뒤 보합권에서 횡보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89억원, 39억원을 팔아치웠고 개인은 284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코넥스시장에서는 99개 종목이 거래됐고 거래대금은 12억원 수준이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달러당 6.7원 오른 1,175.9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특성화고 학생들의 노동인권 교육과 현장실습 관리가 여전히 형식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장과 동떨어진 교육, 준비된 교재의 부재, 방문 점검의 실효성 부족 등이 드러나면서 교육청이 실질적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소라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열린 제333회 정례회 제7차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근 전국 특성화고 노동조합에서 진행한 ‘특성화고 오픈 마이크’ 행사 관련 보도를 보니 “학생들이 충분한 노동인권 교육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정지숙 서울시교육청 평생진로교육국장은 “12시간의 사이버 노동인권 교육을 의무화하고 현장실습 나가기 전에 또 3시간의 대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의원은 “사이버 교육 이수율이 90%라고 하지만 사이버 교육만으로는 실질적 이해가 어렵다”며 학생들이 이해와 습득이 됐는지 모니터링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물으며 대면교육 확대 검토를 주문했다. 현장실습 점검 방식의 실효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현재 학교와 교육청은 방문 일정을 사전에 조율해 점검을 실시한다. 그러나 학생들은 “방문 전 회사가
thumbnail -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