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돋보기] 입의 진화와 환경/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생태 돋보기] 입의 진화와 환경/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입력 2018-07-30 17:42
수정 2018-07-30 17: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플라스틱이나 비닐 제품 등 1회용품에 대한 경각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우산 봉투가 자취를 감추고 전기 물털이기 또는 낙수방지용 천주머니 등이 자주 보인다. 이것들은 생태계 내에 문제가 되고 있는 화학합성물을 줄이기 위함뿐 아니라 자원을 절약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최근에 관심을 끄는 것은 빨대 사용이다.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빨대는 약 5000년 전 수메르 문명에서 금으로 마는 형태로 발견된다. 아르헨티나 원주민은 나무를 깎아 만들어 쓰기도 했다. 현대에는 1800년대 말 위스키를 맛있게 먹고자 만들어졌다. 인간은 입술과 이빨 그리고 혀를 이용해 거의 모든 형태의 음식을 먹을 수 있다. 그럼 다른 생물들은 어떻게 먹는지 입의 해부학적 구조로 살펴보자.

곤충들의 입은 매우 다양하게 진화했다. 잠자리나 메뚜기류는 가장 원시적인 형태인 잘근잘근 씹을 수 있는 입을 가지고 있다. 이 형태로부터 여러 가지 입들이 진화했다. 모기·진딧물·매미 등은 찔러서 혈액 또는 나무 수액을 빨아 먹고, 나비와 나방의 입은 빨대 형태로 꽃꿀 등을 빨아 먹는다. 집파리 등은 다른 곤충과 달리 마른 것이나 젖은 것이나 상관없이 먹을 수 있도록 고도로 진화한 입을 가지고 있다.

척추동물인 어류부터 이빨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약 4억년 전 피부의 변형으로 마치 사포처럼 갈아 부숴 먹는 형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식재료로 쓰이는 칠성장어는 턱이 없고, 입은 둥근 형태이며, 그 둘레를 따라 이빨이 나 있다. 원시적인 혀를 가진, 흡혈을 하는 빨아 먹는 구조다.

포유류 입의 구조는 매우 정교하지만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턱에 이빨이 나고 혀가 발달한 형태다. 포유류는 이가 나기 전에는 어미의 젖을 빨며, 개미핥기·수염고래 등 이빨이 완전히 퇴화해 혀로 쓸어 먹거나 걸러 먹는 종류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씹는 형태로 먹이를 먹는다. 영장류 몇 종을 제외하고 수유기를 지난 후 빠는 습성을 유지하거나 되돌릴 수 있는 종은 거의 없는 듯하다.

문화인류학적으로 빨대의 사용은 유럽과 미주의 식습관 변화와 맞물린다. 먹는 즐거움이라는 표현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자체를 넘어선 그 무엇일 가능성을 내비친다. 이런 즐거움을 오래 향유하면서 동시에 환경을 생각한다면 덜 쓰고 덜 버리는 소비 형태, 재사용이 가능한 삶으로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2018-07-31 2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