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말빛 발견]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이경우 기자
입력 2016-11-16 23:14
수정 2016-11-17 00: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지훈의 시 ‘승무’는 그림 같다.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시를 읽는 게 아니라 한 폭의 그림을 감상하는 것처럼 다가온다. 나비 같은 고깔, 파란빛이 도는 머리, 고와서 서러운 두 볼, 긴 소매와 사뿐한 버선, 오동잎 잎새마다 지는 달…. 시가 그리는 이 풍경들을 천천히 감상하게 된다. 그러다 ‘깊은 마음 속 거룩한 합장인 양’ 같은 내면이 그려질 땐 더 오래 ‘그림’에 머물게 된다. 시 속의 말들이 그렇게 되도록 잡아당긴다.

‘승무’의 말들은 서럽고, 여리면서도 곱고 아름다운 모습을 그려 낸다. 두 볼에 흐르는 빛, 까만 눈동자, 복사꽃 고운 뺨, 아롱질 듯 두 방울…. 여기에 ‘하이얀, 나빌레라, 파르라니, 모두오고’ 같은 말들은 부드러움과 함께 예스러움을 전한다. ‘승무’가 예스러움, 즉 옛것과 같은 맛이나 멋을 전하는 데는 이 같은 말들이 구실을 한다.

이 가운데 ‘나빌레라’ 같은 투의 표현은 옛맛을 더욱 짙게 한다. ‘나빌레라’는 ‘나비처럼 보인다’는 말이다. ‘-ㄹ레’라가 이런 뜻을 갖게 하는데, ‘-겠더라’, ‘-겠도다’와 비슷한 의미를 덧붙인다. 이 시에서 ‘나비’에 ‘-ㄹ레라’를 붙이지 않았다면 분위기는 전혀 달라졌을 것이다. ‘나빌레라’는 여운도 주고 느린 걸음으로 천천히 가는 느낌도 전한다. 일상에서 쓰이지 않으니 이제 ‘나빌레라’의 의미를 얼른 알기는 어렵다. ‘-ㄹ레라’는 글에서나 어쩌다 보인다. ‘승무’에서는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의 끝에 반복해 사용했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6-11-1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