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간추리다’의 발견 그리고 확장/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간추리다’의 발견 그리고 확장/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2-08 17:58
수정 2017-02-09 0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50년대 초 피란지였던 대구의 한 출판사. 중학생용 학습참고서를 만들고 있었다. 각 과목에 붙을 제목을 놓고 고심하다 사내 공모를 하게 됐다. ‘최신’, ‘표준’, ‘모범’ 같은 한자어 단어들이 대부분이었다. 그중에 ‘간추린’이란 낯선 단어가 하나 끼여 있었다.

지금은 널리 쓰이지만, 당시엔 생소한 말이었다. 뜻도 잘 모르는 단어 앞에서 출판사 직원들은 의아한 표정을 지었다. 추천된 말들을 놓고 투표가 이뤄졌다.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간추린’이 압도적인 표차로 채택된 것이다.

이 출판사의 ‘간추린’ 시리즈는 이후 한껏 기세를 올리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출판사의 기반을 굳게 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거래처에서는 ‘간추리다’가 무슨 뜻이냐고 물어 왔다. 당시 ‘간추리다’는 국어사전에도 올라 있지 않았다.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만 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문학 서적 출판에 평생을 바친 일지사의 고 김성재 대표가 그때 이 출판사에서 일하고 있었다. 김 대표는 얼마 후 출판사에서 나와 일지사를 설립하기 전 서울신문 교열부 기자로 일하기도 했다. 그는 출판과 우리말을 다듬는 일이 좋다고 생전에 밝히기도 했다. 그는 출판사를 차렸지만, 처음에는 일거리가 없어 다른 출판사의 국어사전 교열 일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그는 국어사전에 없던 ‘간추리다’를 집어넣는다. ‘간추리다’가 되살아나 더 널리 쓰이게 된 계기가 된 것이다. 김 대표는 이 국어사전이 1958년 출간됐다고 했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7-02-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