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단어의 품질/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단어의 품질/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6-07 22:32
수정 2017-06-08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품질 좋은 쌀은 겉보기에도 표시가 난다. 광택이 나고 깨끗하다. 통통해 보이고 모양도 균형이 잡혀 있다. 밥맛 나는 쌀의 기준이다.

말에서도 품질의 좋고 나쁨을 찾을 수 있다. 물론 쌀처럼 맛깔스럽고 모양 좋고 그런 것은 아니다. 말의 품질 기준은 말맛에도 있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의미의 뚜렷함에 있다. 아무리 발랄해 보여도 뜻이 흐릿하거나 헷갈려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말은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

어쩔 수 없이 뜻이 모호한 말들이 생겨나기 마련이니, 헷갈린다고 자신을 탓할 일만은 아니다. 그런 말들은 덜 사용하고 다른 말을 찾아보면 될 일이다.

‘재연’(再演)은 ‘해묵은 논쟁 재연’, ‘영토 분쟁 재연’에서처럼 어떤 일이 되풀이된다는 말이다. 그러니 ‘재연’은 달리 ‘되풀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데 불행하게도 ‘재연’ 가까이에 ‘재현’(再現)이 있다. 둘은 서로 닮은 대상이어서 어려운 말들이 돼 버렸다. 둘 사이 경계가 그리 선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재현’은 ‘월드컵 감동의 재현’, ‘고려청자 재현’에서처럼 현상이나 사물, 행사를 다시 나타내는 것이다.

‘좇다’와 ‘쫓다’도 서로를 방해한다. 구별의 열쇠는 ‘공간’이지만, 쉽지 않다. 물리적 공간에서 몸을 움직이는 건 ‘쫓다’이고, 추상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건 ‘좇다’다. ‘시선은 까마귀 떼를 쫓고 있다’에서도 ‘쫓다’가 아니라 ‘좇다’가 된다. 이 말들도 가까이 있는 말 때문에 애매해서 피하고 싶어진다.

이경우 어문팀장
2017-06-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