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진심 어린 사과/한승혜 주부

[2030 세대] 진심 어린 사과/한승혜 주부

입력 2022-01-10 19:58
수정 2022-01-11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승혜 주부
한승혜 주부
여느 집 아이들과 다르지 않게 우리 집 두 아이도 함께 붙어 있으면 하루에도 수십번씩 싸운다. 그럼에도 이제는 둘 다 조금은 성장했는지 갈등이 생겨도 부모의 개입 없이 알아서 해결하는 법을 어느 정도 터득한 듯하다. 속에서 천불이 나는 것을 참고 지켜보다 보면 한참 투닥투닥하다가도 사과하고 화해한 뒤 언제 그랬냐는 듯 또 같이 어울려 논다. 아마도 싸우면 같이 어울려 놀 사람이 없어 둘 다 손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 모양이다.

그런데 이처럼 아이들이 다투고 화해하는 모습을 지켜보다 일종의 패턴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다름 아닌 사과하는 방법에 대한 불만이었다. 거의 매번 다음과 같은 대화가 반복된다. “미안해. 이제 됐지?” “그렇게 말고 진심으로 사과하라고!” “진심으로 미안해! 됐지?” 첫째가 둘째에게 항의할 때도 있고, 때로는 둘째가 첫째에게 불만을 표시할 때도 있다. 그러다 마지막엔 결국 다음과 같은 외침이 이어진다. “엄마! 오빠가(또는 동생이) 제대로 사과 안 하고 미안해! 됐지! 이렇게 말해요!”

이럴 때 나의 반응은 대개 정해져 있다. “첫째야(또는 둘째야), 그렇게 말고 제대로 사과해야지”라고 타이르는 것이다. “이미 사과했어요!”라고 대답하는 아이들에게 “그러지 말고 진심을 담아서 사과해야지”라고 말하곤 한다. 그런데 사실은 말하고 나서 스스로도 찜찜한 마음이 들 때가 많다. 대체 어떻게 해야 ‘진심을 담아서’, ‘제대로’ 사과하는 것일까? “진심으로 미안해”라고 말하면 그게 진심이 되는 것일까?

솔직히 고백하자면 어른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진정성 있는 사과가 무엇인지는 여전히 모르겠다. 다만 사과를 받는 사람이 아니라 사과를 해야 하는 당사자의 입장이었을 때를 돌이켜보면 아주 희미하게 느낌이 오는 것 같기도 하다. 아이들에게 무언가 실수나 잘못을 했을 때, 정말로 미안함을 느껴 사과를 했을 때는 아이들이 속상해하면서도 스스로의 마음을 다독이며 사과를 받아 주곤 했다.

꺼내서 보여 줄 수도 없건만 진짜로 미안해하는지 어떤지 마음을 어떻게 알아차렸는지 참으로 신기한데, 인간의 느낌이라는 것은 여러모로 못 미더우면서도 한편으로는 들어맞는 구석도 있는가 보다. 사과 뒤에 이어진 행동을 지켜보았을지도 모르는 일이고. 진심 어린 사과를 했던 경우에는 정말 미안하다고 생각했기에 잠깐일망정 달라진 태도를 보이거나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 노력했는데, 어쩌면 그게 받아들여졌는지도 모른다. 사과를 받은 당사자가 아니었으므로 잘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분명한 건 순간의 귀찮음을 모면하기 위해 대충 사과하고 넘어가려 한 경우에는 그것이 잘 통하지 않았다는 사실. 아이들은 귀신같이 그 마음을 알아차리고 끝까지 화를 내곤 했다.
2022-01-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