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마스크/홍지민 체육부 차장

[데스크 시각] 마스크/홍지민 체육부 차장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20-06-01 17:38
수정 2020-06-02 01: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지민 문화부장
홍지민 문화부장
그러고 보니 마스크와 삶을 공유하게 된 지 꽤 오래됐다. 설 연휴를 보내고 1월 말부터였던 것 같다. 살을 에는 바람을 맞으며 서너 시간 기다린 끝에 얼마 되지 않는 마스크를 손에 쥐던 게 엊그제인데 벌써 여름이 다가오고 있다. 사람이 간사한 게 날씨가 더워지면서 조금 더 힘든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나처럼 살집이 풍부한 사람들은 더 그런 것 같다. 언젠가 출근길 버스정류장에서 내가 타고 갈 차량을 기다리고 있는데 땀으로 범벅이 된 한 아저씨가 버스에서 황급히 내리자마자 마스크를 벗고는 숨을 헐떡이는 모습을 보았다. 남의 일 같지가 않았다.

난 마스크 한 개를 평균 2주 안팎으로 사용하는 편이다. 처음에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였던 터라 자연스럽게 습관 아닌 습관으로 굳어졌다. 정부가 공적 마스크 제도를 도입하며 언제부터인가 어느 정도 줄을 서기만 하면 구할 수 있게 됐고, 또 그 줄이 점점 짧아져 이제는 기다리는 일도 없어졌지만 그래도 마스크를 사용하는 주기가 짧아지지는 않았다. 아무리 공적 마스크라고 해도 코로나19 이전의 시장 가격과 비교해 보면 두 배가량 비싸다. 쉽게 바꿔 쓰기가 아까운 이유 가운데 하나다. 온라인 몰에 풀리는 공적 마스크 외 물량은 정상 가격이지만 한 번도 구입에 성공한 적이 없다. 생각날 때마다 홈페이지를 들여다보곤 하는데 대개 품절 상태다. 간혹 재고가 있는 것을 확인해 황급히 마우스를 누르더라도 손이 느려서인지 지금까지는 실패다. 언젠가는 꼭 성공해 보고 싶다는 오기가 샘솟기도 한다.

마스크를 길게 쓰다 보면 안에서 보풀이 일어난다. 그 보풀이 코를 간지럽게 만들고 슬슬 재채기를 부르려 할 때가 나 스스로 진단하는 마스크 교체 시기다. 제 아무리 마스크를 썼다고 해도 대놓고 재채기하는 것은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에티켓이 아니라고 보기 때문이다. 한 마스크는 3주 정도 썼는데도 매끈하게 마감된 안쪽이 그대로 유지돼 무척 마음에 들었다. 그런데 오래 쓰다 보니 얼룩이 묻고 때가 타서 어쩔 수 없이 바꿔야 했다. 그 마스크 제품명을 기억해 놓지 않은 것이 두고 두고 아쉽다.

이렇게 최소 2주 쓴다고 가정할 때 1년 52주니까 1년에 마스크 26개가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분실 등 만일의 사태까지 대비한다면 40개 정도면 앞으로 1년은 넉넉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이미 그 정도는 비축해 놨다. 그러면 이제 마스크를 그만 구입해도 되지 않을까 싶은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몇 주 전부터는 나와 아내 몫의 할당량으로 소형을 꾸준히 사고 있다. 잠잠하다 싶으면 이어지는 집단감염에 몇 차례 연기되기는 했지만 아이들의 초등학교 등교, 유치원 등원을 앞두고는 줄곧 그래 왔다. 아이들 것이라 크기가 작다고 값이 싸지도 않다. 뭐, KF94가 아닌 KF80이어도 마찬가지였지만.

마침내 이번 주 아이들의 등교, 등원 순서가 다가왔다. 더이상 미뤄지지 않는다고 한다. 훌쩍 올라간 기온에 어른들도 마스크를 오래 쓰고 있기가 버겁다. 그래서 아이들이 안쓰럽기도 하다. 숨 쉬기 편하다고 덴털 마스크가 상한가다. 그저 입과 코를 꽁꽁 막고 있는 KF 마스크 마련에 급급했는데 숨이 숭숭 들고 나는 덴털 마스크도 괜찮다고 한다. 일찍 알았다면 덴털 마스크도 준비해 놓았을 텐데 이젠 그 값이 네다섯 배 이상 뛰었다. 후회막급이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정부에서 학교를 통해 아이들에게 직접 마스크를 챙겨 주면 안 되는 것일까. 이왕이면 덴털 마스크를 공급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로서는 큰 부담을 덜게 될 게 분명하다.

icarus@seoul.co.kr
2020-06-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