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어린이 박물관은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가 주인공인 공간이지만 어른들이 함께 찾기 마련이다. 어른들은 어린이들의 활동을 열심히 도우며 격려하고 사진을 찍기도 한다. 때론 아이들끼리 놀게 놔두고 엄마끼리 모여 못다 한 이야기를 나눈다. 가끔은 전시실에서 단잠에 빠져 있는 아빠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그럴수록 어떻게 하면 어른들도 함께 즐기면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박물관을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된다.
이런 면에서 얼마 전 방문한 스웨덴 세계문화박물관의 전시가 반가웠다. ‘함께’라는 전시 제목처럼 한데 어울려 사는 것이 얼마나 멋지고도 어려운 일인가를 주제로 한 전시였다. 세계 각국의 문화를 보여주는 1000점 남짓한 소장품과 더불어 어린이들이 직접 만지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놓았다. 전시의 주 대상은 한 살에서 초등학생까지 어린이지만, 영아, 유아,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고 어른들도 배려하는 활동들을 세심하게 배치해 놓았다.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탐색하고 즐기고 배우는 공간을 목표로 한 것이다.
‘어린이 박물관’이라는 이름의 문화 공간이 등장한 것은 1899년, 미국 브루클린 어린이 박물관이 처음이다. 이후 1957년 소련이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 스푸트니크 사건을 계기로 미국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스푸트니크 충격을 계기로 도입된 학문 중심 교육과정이 어린이 박물관에서 원리를 직접 탐구할 수 있는 체험형 전시로 구현된 것이다.
체험형 전시의 어린이 박물관이 증가하면서 “도대체 이런 공간을 박물관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는가” 하는 논란이 없지 않았지만, 곧 트렌드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어린이 박물관의 인기와 교육적 효과로 체험형 전시는 일반 박물관의 전시 기법으로도 발전했다. 이는 박물관 전시의 성격과 개발 과정을 바꾸어 놓기도 했다. 유물에만 중점을 두었던 박물관 전시가 관람객의 시선을 더불어 고려하기 시작한 것이다.
어린이 박물관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상하이에서 두바이까지 주요 도시를 대표하는 문화공간으로 어린이 박물관 설립은 붐을 이루고 있다. 상상력과 창조성을 키우고 공감력을 갖춘 미래 시민으로의 성장을 돕는 대표적인 교육공간이자 가족을 위한 문화공간이라는 인식이 뿌리내렸기 때문이다.
1995년 우리나라에 어린이 박물관이 처음으로 문을 열었을 때 “이게 놀이터지 어떻게 박물관이냐”며 화를 내고 돌아갔다는 부모의 일화가 있지만, 이제 어린이 박물관은 어린이를 위한 교육공간으로 확실하게 자리잡았다. 많은 국립박물관이 어린이 박물관을 부설기관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경기어린이박물관이나 서울상상나라 같은 독자적인 공간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2020년에는 세종시에 국립어린이박물관이 문을 연다고 한다. 어린이가 주인공이지만 어른들도 함께 즐기면서 아이들과 공감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박물관을 기대해 본다. 세종시와 주변 지역 주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은 당연하다. 나아가 전국 어린이 박물관의 정책적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면서 박물관 도약의 새로운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7-04-15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