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살구나무 여인숙/장석남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살구나무 여인숙/장석남

입력 2017-05-19 18:00
수정 2017-05-20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살구나무 여인숙/장석남
-제주에서 달포 남짓 살 때

마당에는 살구나무가 한 주 서 있었다

일층은 주인이 살고

그 옆에는 바다 소리가 살았다

아주 작은 방들이 여럿

하나씩 내놓은 창엔

살구나무에 놀러 온 하늘이 살았다

형광등에서는 쉬라쉬라 소리가 났다

가슴 복잡한 낙서들이 파르르 떨었다

가끔 옆방에서는 대통령으로 덮은

짜장면 그릇이 나와 있었다

감색 목도리를 한 새가 하나 자주 왔으나

어느 날 주인집 고양이가

총총히 물고 걸어가는 것이 보였다

살구나무엔 새의 자리가 하나 비었으나

그냥 맑았다 나는 나왔으나 그 집은

그냥 맑았다

마당에 살구나무 한 주 서 있는 바닷가 여인숙이 있다면 거기 가서 몇 년쯤 살고 싶다. 세상 같은 거 다 잊고, 말 같은 거 다 잊고, 책 같은 거 다 잊고! 외로움을 탕약(湯藥) 달여 먹듯이 삼키고 바닷가나 어슬렁거리며 살고 싶다. 쓰고 싶은 게 있어도 쓰지 않고 가슴에만 묻어 두겠다. 보고 싶은 사람이 있어도 꾹 눌러 참고 있겠다. 은나라 말기의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같이 은둔자로 숨어 사는 즐거움을 누리겠다. 간혹 짜장면이나 한 그릇씩 사 먹고 빈 그릇은 신문에 덮어 내놓는 한가로운 생활을 애써 구한 뒤 “사람이 능히 도를 넓힌다.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라는 성인의 말씀이나 곱씹으며 살겠다.

장석주 시인
2017-05-2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