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쌀밥/장성희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쌀밥/장성희

입력 2019-07-25 17:46
수정 2019-07-26 02: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물-福 / 이종구
물-福 / 이종구 160×158㎝, 한지에 아크릴릭, 2002
민중화가,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쌀밥 / 장성희

얼마나 많은 시간을 먹었는데

아직도 그립다 하며 빈 수저를 핥는다

식욕을 물려받고 수저 쥐는 법을

누구에게 배웠는지 잊지도 않는다

나는 나의 아름답지 않던 모든 시절을 믿는다

당신의 손에는 너무도 많은 물이 담겨 있다

잡으려 할 때마다 파문이 일고 자리마다 검버섯이 자란다

기어코 손등까지 차오르던 고요

당신에게 건넬 말을 물고 오물대던 순간들

얼마나 더 많은 시간을 먹을 수 있을까

묻던 말만 가득 담긴

빈 그릇 빈 수저

초등학교 2학년을 다니다 말고 친척집에서 꼴머슴을 살았다. 소 풀을 뜯기고 나무하는 것이 일이었다. 갈퀴나무. 떨어진 솔잎을 갈퀴로 긁어모아 라면 박스 크기로 묶어 애기지게로 날랐다. 갈퀴나무는 화력이 참 좋았다. 바가지 하나의 분량이면 가마솥 밥을 할 수 있었다. 아궁이 속의 갈퀴나무가 환하게 불타는 모습을 보는 것이 참 좋았다. 엄마가 밥을 얹힐 때 손바닥을 쌀 위에 펴서 물을 맞추는 모습은 늘 신기했다. 당신의 손에는 너무나 많은 슬픈 물이 담겨 있다. 나는 나의 아름답지 않던 모든 시절을 믿는다는 시인의 잔잔한 목소리. 이 젊은 시인의 꿈이 꼭 이루어지기를.

곽재구 시인
2019-07-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