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물桶/김종삼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물桶/김종삼

입력 2022-07-14 20:22
수정 2022-07-26 1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물桶/김종삼

희미한
풍금(風琴) 소리가
툭 툭 끊어지고
있었다

그동안 무엇을 하였느냐는
물음에 대해
다름 아닌 인간(人間)을 찾아다니며
물 몇 통(桶) 길어다 준 일밖에 없다고

머나먼 광야(廣野) 한복판
얕은
하늘 밑으로
영롱한 날빛으로
하여금 따우에선

물 긷는 일은 이제 우리나라에서는 없어진 일이 되었을 줄 안다. 이웃들과 더불어 우물물을 먹던 시절 물 긷는 일은 고된 일이었고 허드렛일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물’은 어떤 물건이던가. 모든 생명 현상의 근본 바탕이고 오염된 모든 것을 깨끗이 하자는 일의 매개물이다. 이 시는 저승길의 시다. 장례식의 ‘풍금 소리’를 뒤에 둔 한 영혼이 먼 길을 간다. ‘머나먼 광야 한복판’ ‘영롱한 날빛(햇빛)’이 영혼에게 묻는다. 이제 곧 올라갈 ‘얕은 하늘 밑’이다. ‘따(땅) 우에선’ 무엇을 하였느냐는 질문이다. ‘영롱한’ 질문이었으리라. ‘(목마른) 인간(人間)을 찾아다니며 물 몇 통(桶) 길어다 준 일밖에 없다’고 답한다. 이 구절은 겸사(謙辭)의 언어이지만 슬픔이 가득하다. 뜻 있는 삶이란 미리 죽음의 자리에 가서 ‘지금’을 바라본다. 그러면 사는 의미가 보인다. 김종삼에게 ‘물통’은 ‘시’였으리라. 예나 지금이나 ‘물통’ 진 자는 별 대접을 바라지 않는다. ‘물통’을 배달하게 되어 기쁘다.

장석남 시인
2022-07-1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