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재원(才媛)의 성별/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재원(才媛)의 성별/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4-22 22:10
수정 2020-04-23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년 만에 팬텀싱어가 돌아왔다. 크로스오버 남성 4중창단 결성을 위한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시즌 3다. 참가자들의 실력이 기대 이상이다. 덕분에 금요일 밤이 즐겁다. 매번 느끼는 거지만 노래 잘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 심사위원들의 고충이 이해되고도 남는다.

지난주 금요일 밤 2회 방송에서 한 심사위원이 노래를 마친 참가자에게 ‘재원’이라는 표현을 썼다.

평소 무심코 사용하는 말 중 성별을 구별해서 써야 하는 말들이 있다. ‘재원’(才媛)이 이에 해당한다. 재원은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를 뜻하므로 남성을 가리키는 말로는 적당하지 않다. ‘그 댁 따님은 소문난 재원이다’ 또는 ‘○○○씨의 예비 신부는 지성과 미모를 겸비한 재원이다’처럼 쓰인다. 요즘엔 주로 결혼식에서 신부를 소개하는 말로 많이 사용된다.

‘재원’과 마찬가지로 여성에게만 쓰이는 표현으로는 ‘묘령’(妙齡)이 있다.

묘령은 흔히 ‘묘’(妙)를 ‘기이하다’ ‘색다르다’ 등으로 해석해 ‘정체를 알 수 없는’, ‘나이를 짐작할 수 없는’ 뜻으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여기에서 묘는 ‘예쁘다’, ‘젊다’는 뜻으로 묘령은 ‘스무 살 안팎의 여자 나이’를 이르는 말이다. 그러니 중년 여성이나 남성에게 ‘묘령’이란 표현을 사용하는 건 맞지 않다.

묘령과 비슷한 뜻의 방년(芳年)도 이십 세 전후의 한창 젊은 꽃다운 나이를 말한다. 스무 살 안팎의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는 묘랑(妙郞)이 있다.

oms30@seoul.co.kr
2020-04-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