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명래 후보자 투기의혹 은근슬쩍 넘어가면 안 된다

[사설] 조명래 후보자 투기의혹 은근슬쩍 넘어가면 안 된다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8-10-23 20:32
수정 2018-10-23 2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어제 조명래 환경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개최했다. 조 후보자는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환경회의 공동대표 등을 맡는 등 학계와 시민단체를 오가며 활발히 활동해 왔다. 특히 부동산 전문가로 개발 위주 부동산 정책을 줄곧 비판해 많은 이들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이달 초 청와대가 그를 장관 후보자로 ‘깜짝 지명’하자 우려보다는 기대감이 높았던 것도 그런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어제 청문회는 시작부터 파행이었다. 조 후보자의 자료 제출 미비를 문제 삼아 회의 시작 20여분 만에 중단됐다가 오후에 속개됐다. 이러한 빌미를 제공한 것은 조 후보자 자신이었다. 후보자 지명 이후 위장전입과 다운계약서 작성, 증여세 고의 지연 납부 등 ‘백화점식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이제껏 고위 공직자들에게 쏟아졌던 흠결을 모두 갖춘 듯하다.

장남의 명의를 빌려 서울 지역 아파트를 매매한 의혹이 불거진 대목에서는 할 말을 잃게 했다. 앞에서는 부동산 투기를 비판하면서도 뒤로는 전문성을 살려 투기에 나선 정황이 뚜렷해 보였던 탓이다. 청문회 태도도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조 후보자는 의혹들에 대해 “실거주 목적으로 장남 명의로 아파트를 샀지만, 전세가 끼어 있어서 살지 못했다. 다운계약서는 부인이 계약해서 잘 모른다”는 등 납득하기 어려운 핑계를 내놨다. ‘청와대가 정한 고위공직자 배제 기준에 해당한다’는 야당의 주장이 무리하게 들리지 않을 정도다.

조 후보자는 청문회에 앞서 “남북을 하나의 생태공동체로 묶고, 그 안에서 다양한 연구와 정책적 협력을 추진해 균형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동산 투기와 온갖 편법을 일삼은 후보자가 이러한 정책들을 주도할 때 국민이 신뢰를 보낼지 의문이다. 공기업 채용비리와 비리 유치원 사태 등 굵직한 사안에 국민의 눈이 쏠려 있지만, 국회는 조 후보자에 대한 의혹들을 보다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조 후보자는 의혹에 대해 면피성 해명보다는 솔직히 사과해야 한다.

2018-10-24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