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끝까지 말 맞추고 말 뒤집기… 그걸 믿으라는 尹·金

[사설] 끝까지 말 맞추고 말 뒤집기… 그걸 믿으라는 尹·金

입력 2025-01-24 01:24
수정 2025-01-24 0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의원 아닌 요원” 어이없는 주장까지
짜맞추기 여부 철저히 심리·수사해야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어제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4차 변론에 함께 출석했다. 김 전 장관은 정치인을 체포하라는 윤 대통령의 지시는 없었다고 부인하며 ‘비상입법기구’ 문건은 자신이 직접 만들어 최상목 부총리에게 줬다고 했다. 또 ‘포고령 1호’에 대해서는 자신이 과거의 계엄령 문건을 바탕으로 작성했다고 주장했다. 계엄 과정의 주요 부분들을 자신이 주도했다는 주장으로 윤 대통령 탄핵의 핵심 사유가 되는 위헌·위법성을 낮추는 데 주력했다. 지금까지의 수사에서 드러난 사실들과는 크게 달라 두 사람이 입을 맞춘 듯한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

김 전 장관의 증언들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가 어렵다. 어떻게 국방장관이 대통령도 모르게 마음대로 비상입법기구 예산 편성 내용의 쪽지를 만들어 부총리에게 줄 수 있나. 언론 보도를 보고서야 알았다는 윤 대통령의 주장을 그대로 받쳐주는 비상식적 증언이다. 계엄 포고령 관련해서도 “10.26과 12.12 당시의 것을 보고 직접 작성했다”며 말을 뒤집었다. 검찰 수사에서는 초안을 자신이 썼고 윤 대통령이 최종 검토했다고 진술했다. 며칠 전까지 그의 변호인도 똑같은 취지의 주장을 했다. 대통령 탄핵 사유 자체를 무력화하기 위해 긴급히 짜맞추기한 것 아니고는 이런 어이없는 말바꾸기를 납득하기 어렵다. 실제로 변론장에서는 윤 대통령이 직접 “기억나냐”고 신문하면 김 전 장관이 “지금 말씀하시니 기억난다”며 호응했다.

계엄 선포 순간부터 시시각각 이어진 관련자들의 증언을 온 국민이 생중계로 보다시피 해 왔다. 그런데도 어처구니없는 해명이 한둘이 아니었다.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국회의원을 빼내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한 것에도 “의원이 아니라 요원을 빼내라고 한 걸 잘못 받아들였다”고 했다. 국민을 상대로 말장난을 하겠다는 황당한 대응이 아닐 수 없다. 윤 대통령이 ‘경고용’으로 국회에 최소 병력인 250명만 투입하라고 했다고 두둔하기도 했다. 국민 앞에서 두 사람이 ‘장군, 멍군’ 하며 빤한 짜맞추기로 일관한 것이다. 심지어 윤 대통령은 “실패한 계엄이 아니라 예상보다 좀더 빨리 끝난 것”이라고도 했다. 국회가 계엄을 해제한 게 아니라 자신이 결단했던 것처럼 본말을 전도시킨 궤변에는 참담한 마음마저 든다.

윤 대통령은 이런 비루한 대응에 국민이 얼마나 더 좌절하는지 아직도 모르고 있다. 한순간만이라도 대통령답게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 줄 수는 없는가. 헌재는 납득하지 못할 두 사람의 주장을 더욱 철저히 심리해야 한다. 공수처에서 검찰로 넘어간 수사 역시 마찬가지다.
2025-01-24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