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이르다와 등과 따위

[이경우의 언파만파] 이르다와 등과 따위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8-23 20:08
수정 2020-08-24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우리 국어사전 발간의 역사도 이제 짧지 않다. 1925년 경성사범학교 교사 심의린의 ‘보통학교 조선어사전’을 시작으로 발간을 앞두고 있는 ‘겨레말큰사전’(남북 공동 편찬)까지 수많은 국어사전이 이어져 왔다. 그사이 독자들의 눈높이도 높아지고 기대 사항도 많아졌다. 뜻풀이가 너무 어렵다, 부정확한 풀이들이 보인다, 사전마다 뜻풀이들이 한결같다, 없는 말도 많다, 쓸데없는 올림말들이 있다, 어원 정보가 부족하다 같은 지적들이 있다.

이런 지적들 속에서 잘 정리된 국어사전을 뒤적이다 보면 낯선 듯하면서도 낯익은 풍경 하나가 발견된다. 대부분의 국어사전들이 뜻풀이에서 ‘이르다’를 즐겨 쓴다. 예를 들면 “손주: 손자와 손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과 같이 안내한다. ‘이르다’ 대신 일상의 말들인 ‘가리키다’, ‘뜻하다’, ‘나타내다’를 쓰거나 상황에 맞게 ‘말하다’라고 표현하길 꺼린다. 어색한 것은 아니기에 꼼꼼한 독자들도 국어사전 편찬자들 사이에서 이어져 온 ‘용어’이겠거니 하고 넘겨 버린다. 오랜 전통이 돼서 새로 뜻풀이를 하는 경우에도 습관처럼 ‘이르다’가 적힌다.

‘이르다’는 ‘말하다’, ‘뜻하다’ 등보다 무게감이 조금 다르다. 이전 문장들에서는 옛날 문헌이나 성인들의 가르침을 전할 때 ‘옛 문헌에 이르기를’, ‘공자가 이르기를’이라고 많이 표현했다. 국어사전의 뜻풀이에 ‘이르다’가 흔한 것은 보이진 않지만 전통과 여기에 따르는 권위를 담으려는 태도도 있을 것이다.

‘등’은 두 개 이상의 사물을 나열할 때 쓰인다. ‘사과, 배, 대추 등 과일’에서처럼 일상의 문장에서 흔한 게 ‘등’이다. 하지만 국어사전의 뜻풀이에선 ‘등’ 대신 ‘따위’가 많이 보인다. ‘이르다’가 꽤나 점잖아서 눈에 띄었다면 ‘따위’는 ‘당혹’스럽게 눈길을 끈다. ‘냉장고, 텔레비전, 세탁기 따위’, ‘화력, 수력, 조력, 풍력 따위’ 식이다. 어떤 이들은 이것을 보고 새로운 발견에 ‘기쁨’을 얻기도 한다. 그렇지만 이곳의 ‘따위’에는 비하의 뜻이 없다. 단지 앞에 나온 것들이 나열됐음을 중립적으로 알릴 뿐이다. 국어사전들은 ‘따위’와 같은 뜻이 있는 ‘등’으로 바꿀 뜻이 없어 보인다. 한데 개운치 않아 하는 독자들도 있다. ‘너 따위’니 ‘괴로움 따위’의 ‘따위’와 겹쳐 보이기 때문이다. ‘따위’에서 파생돼 나온 ‘그따위’, ‘이따위’, ‘저따위’ 같은 말들이 가까이 있기도 하다.

지난주 국회에서도 “말 그따위로 할래”라는 말이 나왔다. 이전 방식의 막말이 또 국회와 정치의 품위와 권위를 떨어뜨렸다.

2020-08-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