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시키다’에 대한 변명

[이경우의 언파만파] ‘-시키다’에 대한 변명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2-21 20:34
수정 2021-02-22 0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왜곡하다’는 타동사다. 동작의 대상인 목적어가 있어야 말이 된다. ‘역사를 왜곡했다’, ‘남의 말을 왜곡했다’, ‘사랑을 왜곡한 죄’처럼 쓰인다. 그런데 같은 의미로 ‘역사를 왜곡시켰다’, ‘남의 말을 왜곡시켰다’, ‘사랑을 왜곡시킨 죄’ 같은 표현도 쉽게 볼 수 있다. ‘왜곡’에 접미사 ‘-하다’ 대신 ‘-시키다’를 붙인 것이다. 의도는 대략 짐작이 간다. 명사 ‘왜곡’을 동사로 만들면서 타동사라는 걸 좀더 강조하고 싶었던 것이다. ‘왜곡하다’보다 ‘왜곡시키다’가 더 드러나 보인다.

‘-시키다’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라고 돼 있다. ‘사동’은 다른 사람에게 어떤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이다. 즉 ‘-시키다’는 “어떤 말이 ‘사동’의 뜻을 갖게 하는 말”이다. ‘동료가 퇴근했다’(‘퇴근하다’는 목적어가 필요 없는 자동사)를 ‘동료를 퇴근시켰다’, ‘의사가 환자를 치료했다’를 ‘의사에게 환자를 치료시켰다’라고 하면 사동을 나타내는 문장이 된다. 한데 국어사전의 오래된 뜻풀이와 전통적인 표현 방식은 ‘왜곡시키다’란 표현을 지적하는 도구가 돼 왔다.

‘동료를 퇴근시켰다’, ‘의사에게 환자를 치료시켰다’에서는 시킨 행동을 실행에 옮기는 대상이 ‘동료’이고 ‘의사’다. 그렇지만 ‘역사를 왜곡시켰다’에서는 시킴을 받는 대상이 없다. 다시 말해 ‘역사를 왜곡시켰다’는 문장에는 사동의 기능이 없다는 것이다. 또 ‘역사를 왜곡시켰다’는 문장과 ‘역사를 왜곡했다’는 문장의 구조에 차이가 없다는 이유를 들어 규범을 강조하는 쪽에서는 ‘왜곡시키다’를 바르지 못한 표현이라고 밝혀 왔다. 역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 ‘금지하다’, ‘동결하다’, ‘오염하다’, ‘충족하다’ 같은 말들에도 ‘-시키다’를 붙여 쓰면 같은 이유로 지적하려는 분위기가 여전히 있다.

그렇지만 경고 같은 지적에도 ‘금지시키다’, ‘동결시키다’, ‘오염시키다’ 같은 표현이 넓게 쓰인다. 대중과 언론매체들은 국어사전과 달리 ‘-시키다’를 ‘사동’이 아니라 단순히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로도 사용하는 것이다. ‘-하다’와 비교해서는 자연스레 ‘강조’의 뜻을 덧붙이는 말로 쓴다.

‘왜곡시키다’는 대중들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형태다. 의미를 확장하기도 한 것이다. 잘못된 표현으로 몰고 가는 건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말글살이에 어려움을 준다. ‘왜곡하다’가 있다고 ‘왜곡시키다’를 걱정스러운 눈빛으로 볼 일은 아니다. 지나친 규범의 잣대는 언어를 옳고 그름의 이분법적 잣대로만 보게 만든다.

wlee@seoul.co.kr
2021-02-2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