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고향 사투리/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고향 사투리/정기홍 논설위원

정기홍 기자
입력 2015-02-17 22:26
수정 2015-02-17 22: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TV 장학퀴즈 프로에서 진행자가 “구황작물로 조선 말에 일본에서 들여와 감자와 함께 즐겨 먹는 것은?”이라고 물었다. 경상 지방에서 온 고교팀이 먼저 벨을 눌렀다. “고메.” “아닙니다.”, “물고메.” “틀렸습니다.” 정답은 고구마였다. 진행자가 사투리라고 언질을 줄 것이지…. 그 팀은 억울할 법도 했겠다 싶지만 고향에서만 자란 어린 학생들이니 이해 못할 장면은 아니다.

사투리는 반질반질한 서울말과 달리 조금은 투박한 것이 매력이다. 구수한 억양을 접하면 그 또한 즐거움이 아닌가. 몇 마디를 따라 하다 보면 머리도 한결 맑아진다. 그런데 각 지방의 사투리에 공통된 단어가 많은 데 놀란다. 대표적인 호남 사투리인 ‘거시기’는 호남 사람 것만은 아니다. 영남 지방에서도 ‘거석’으로 쓰는 곳이 더러 있다. “참 거시기하네.” “참 거석하네.” 풀고 압축해 쓰는 차이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영남에선 “참 저기한 사람”이란 말을 한다. ‘저기’는 ‘거시기’처럼 생각이 잘 안 나는 것을 가리키는 지칭대명사다.

고향 가는 설 연휴다. 귀향길에 고향말 한번씩 해 보자. “퍼뜩 오이소.”, “싸게싸게 오랑께.”, “빨와유”, “혼저 옵서.” 고향이 마을 어귀까지 마중 나온 듯하지 않은가.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2-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