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약(藥)비/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약(藥)비/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5-07-06 00:10
수정 2015-07-06 0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요즘 장마철이라지만 비 오는 날이 적은 ‘마른장마’다. 그러니 장마로 해갈을 기대했던 농민들의 마음은 여전히 타들어 가고 있단다. 얼마 전 오랜 가뭄에 시달리던 차에 비가 내리자 TV 화면 속 한 노인이 “약비예요. 약비!”라고 외치는 것을 봤다. 얼마나 비를 기다렸으면 비를 ‘약’(藥)이라고 표현했을까. 단비, 금비라는 말도 부족해 약 같은 비라는, 농부의 말 속에 저수지 밑바닥보다 더 쩍쩍 갈라졌던 농부의 가슴속을 짐작할 수 있다.

돌아가신 친정어머니는 우면산 자락에서 텃밭을 가꾸는 재미로 말년을 보내셨다. 변변한 배수 시설 하나 없이 산기슭 자갈밭을 일궈 고추와 고구마 등을 심었다. 어느 해 비가 오지 않아 비쭉 나온 채소 싹들이 내리 쬐는 햇볕에 말라 타들어 갔다. 그래서 온 가족이 발벗고 나서 멀리 떨어진 약수터에서 양동이로 물을 길어 날랐던 적이 있다.

예전에는 재래 시장에 가면 물건 값을 흥정하기도 했는데 그 이후 부르는 대로 값을 주게 됐다. 조금이나마 농부의 심정이 되고 보니 시장에서 파는 농산물들이 허투루 보이지 않아서다. 역지사지(易地思之)하는 마음은 왜 어려움을 겪어 봐야만 생기는 것인지….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5-07-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