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을 읽지 못하고 목침으로 활용하고 있다. ‘조만간 읽어야지’에서 ‘언젠간 읽어야지’로 모드 전환해 놓았다. ‘자본이 돈을 버는 세상’이라는 지당한 격언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니 읽고 싶은 마음이 뚝 떨어진 탓이다. 다만, 옆에 놓고 굴리면 조금은 빠른 시점에 읽게 되지 않을까 하는 심정이다. 지난 5월에 김병익 평론가가 쓴 어떤 서평을 읽다가 켄트 플래너리와 조이스 마커스 공저의 ‘불평등의 창조’라는 책을 샀다. ‘인류는 왜 평등 사회에서 왕국, 노예제, 제국으로 나아갔는가’가 주제인데 1000쪽을 넘긴 이 책 역시 읽지 않는다면 목침용으로 전환될 것이다. 이 책은 책상머리에 두고 그 위로 한숨을 쌓는다. ‘언제 읽을까!’라며.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해 불평등의 기원을 먼저 알아봐야겠다는 지극히 ‘먹물’ 같은 생각이 두꺼운 책에 막혀 괴롭던 차에 자크 루소가 1753년에 쓴 ‘인간 불평등의 기원론’을 최근 읽었다. 마르크스 ‘자본론’보다 약 100년 앞서 불평등을 질타한 이 책은 160쪽에 불과하다. ‘자유 이외에 아무것도 잃을 것이 없는 가난한 자’란 표현의 저작권은 마르크스가 아니라 루소였다. 좋은 책은 얇더라!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해 불평등의 기원을 먼저 알아봐야겠다는 지극히 ‘먹물’ 같은 생각이 두꺼운 책에 막혀 괴롭던 차에 자크 루소가 1753년에 쓴 ‘인간 불평등의 기원론’을 최근 읽었다. 마르크스 ‘자본론’보다 약 100년 앞서 불평등을 질타한 이 책은 160쪽에 불과하다. ‘자유 이외에 아무것도 잃을 것이 없는 가난한 자’란 표현의 저작권은 마르크스가 아니라 루소였다. 좋은 책은 얇더라!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7-22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