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가을꽃/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가을꽃/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5-09-18 18:00
수정 2015-09-19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계절의 왕래가 에누리 없이 보이는 곳은 아파트 화단이다. 플라스틱 화분들이 철철이 호사한다. 바가지만 한 꽃송이에 목이 꺾인 수국이 여름내 텃세했던 자리. 어디서 데려왔는지 간들간들한 허리에 목덜미 낭창낭창한, 이번에는 분꽃이다. 영락없는 가을꽃.

기세등등한 봄 여름꽃들과 달라 좋다. 과꽃, 맨드라미, 백일홍, 소국 등속. 꾸민 것 없는 담벼락, 외진 장독대 옆 아무 데나 앉혀도 자리 타박하지 않는 가을꽃들. 어느 하나 대접해 달라 조르지 않는 무심함이 푼푼해서 좋다. 유약 곱게 두른 고급 화분하고는 애당초 짝 맞출 마음도 없는 족속이라 더 좋다.

저 분꽃의 까탈만은 어디서 나오는지 모르겠다. 저녁 바람 쐬고 달빛을 받아야 피겠다고 고집이다. 달빛에 톡톡, 화로 속에 콩이 튀듯 피어나니 기적 같다는 꽃. 오므린 봉오리 속이 궁금해 화분째 사 볼까 저울질한다. 꽃을 보려거든 찬바람 나기 전에 어서 들여가라, 화분 두 개 묶어 단돈 만원. 근교 농원들이 안달 나서 반쯤은 협박이다.

길어지는 가을밤. 쓸쓸한 달빛에 혼자 조용히 피겠다는 가을꽃을 억지로 집 안에 들일 수야 없다. 가을을 베란다에 가둘 수야 없다, 나 좋자고.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5-09-1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