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해우재(解憂齋)/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해우재(解憂齋)/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15-10-23 22:32
수정 2015-10-23 22: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른들은 측간(厠間), 즉 ‘뒷간’에는 처녀 귀신이 있다고 겁을 줬다. 시커먼 낭떠러지 같은 측간 밑을 볼 엄두를 못 냈다. 눈을 질끈 감고, 코를 감싼 채 후다닥 볼일만 보고 나오기 바빴다. 사람의 평균 생존 기간을 80년으로 봤을 때 배설을 위해 화장실에서 보내는 시간은 3년 정도라고 한다. 처녀 귀신이 나온다던 시절에는 훨씬 짧았을 게다.

민가와는 달리 불교는 배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뒷간으로 부르며 터부시했던 화장실을 ‘근심을 푸는 곳’이라는 뜻의 해우소(解憂所)로 승화시켰다. 입측의례라 해서 해우소에 갈 때는 늘 법의(法衣)를 정제했다. 그것도 모자라 볼일을 보고 나올 때까지 ‘버리는 것이 큰 기쁨’이라며 해탈을 위한 진언을 외운다지 않는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는 해우재(解憂齋)라는 이름의 변기 모양 건물이 있다. 생전 화장실 문화 운동에 열정적이었던 고 심재덕 전 수원시장이 살던 집이다. 사후 수원시에 기증해 지금은 화장실 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천진난만한 아이들이 그곳에서 즐거움을 만끽한다. 측간에서 해우소, 그리고 해우재로의 변신. 버리는 것은 두려워할 일이 아니라 기쁜 일이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5-10-2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