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남이섬/박홍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남이섬/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5-11-30 23:12
수정 2015-12-01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낙엽이 덮인 늦가을 11월의 남이섬은 스산하고 고즈넉할 줄 알았다. 낙엽을 떨어낸 나무들이 시간의 흐름만을 느끼게 해줄 줄 알았다. 그렇지만 달랐다. 참 많이도 변했다. 20년이 더 지난 그때의 추억만을 갖고 찾은 게 잘못이었다. 선착장 주변에는 온통 음식점들이다. 만국기를 단 여객선은 정해진 시간 없이 수시로 오갔다.

선착장은 붐볐다. 계절을 개의치 않았다. 가족끼리, 연인끼리 손을 잡고 낯선 곳으로의 여행을 즐기는 듯했다. 곳곳에 외국인들이다. 짧은 물길을 지나 발을 디디자 나미나라공화국이라는 간판이 들어왔다. 남이섬의 다른 이름이다. 2006년 3월 1일 나미나라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했다는 것이다. 자연과 사람이 서로 아끼고 사랑하며 함께 숨 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잣나무, 은행나무, 메타세쿼이아는 세월 속에 한껏 자태를 뽐낼 만큼 자랐다. 남이섬 아니 공화국의 품격답게. 찾은 이들은 쭉쭉 하늘 향해 뻗은 나무들 사이 자연 속으로 빠져들어 갔다. 메타세쿼이아 길에서는 ‘겨울연가’의 준상이 되고, 유진이 됐다. 젊었든 나이가 들었든. 11월의 남이섬, 고즈넉하지는 않았지만 자연과 사람, 사랑이 있었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5-12-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