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세밑 단상/구본영 논설고문

[길섶에서] 세밑 단상/구본영 논설고문

구본영 기자
입력 2015-12-22 21:14
수정 2015-12-22 2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 해가 또 속절없이 저물어 가고 있다. 달랑 한 장만 남아 더 넘길 게 없는 달력을 보면 누구든 괜히 마음만 바빠지게 된다. 이따금 뒤를 돌아보면 잘못 보낸 것만 같은 1년이 무척 아쉽기만 한 요즘이다.

하긴 영국의 어느 작가가 그랬던가. “너무 행복한 여인도, 매우 행복한 국가도 역사를 가지지 못한다”고. 힘겨운 일을 겪지 않고는 한 단계 성장할 수 없는 건 개인이든 나라든 마찬가지일 터. 그렇다면 한 해 동안 받은 이런저런 스트레스도, 온갖 시행착오도 무의미한 일은 아닐 것이다.

“흐르는 것이 물뿐이랴/우리가 저와 같아서/강변에 나가 삽을 씻으며/거기 슬픔도 퍼다 버린다” 한 해를 마감하는 세모(歲暮)에 떠올리는 정희성 시인의 시 ‘저문 강에 삽을 씻고’의 한 구절이다.

그렇다. 안 좋은 기억이나 부질없는 기대는 해가 바뀌기 전에 강물에 떠내려 보내는 게 좋겠다. 그리고 어김없이 오고야 말 새해에는 지천에 널려 있는 클로버를 두고 굳이 보이지도 않는, 행운의 ‘네 잎 클로버’를 찾아 헤매는 일은 없어야겠다 싶다. 클로버의 꽃말 자체가 행복이라는데 말이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5-12-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