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위로/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위로/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5-12-30 20:42
수정 2015-12-30 2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랜만에 공원길을 걷는다. 낙엽 요란했던 어느 주말 이후 근 두달 만이다. 계산 빨라 얇은 마음 아니었나. 나무들 잎 다 지고, 소매 시려졌다고 끊었던 발길. 유록색의 봄, 진청의 여름, 오색단풍의 가을을 한 푼 내놓지 않고 받아 누리기만 바빴으면서. 빈털터리 숲길이라고 괄시했던 내 염치, 바닥이 보인다.

내 속 들여다볼 마음 없는 겨울나무들이라 편하다. 저 먼저 안면을 바꾼 척 눈 감고 섰다. 텅 빈 가지로 당분간 정체불명이다. 이 모퉁이에서 매미가 찢어져라 울었으니 칠엽수, 맥문동 꽃대를 초가을까지 발밑에 깔았던 이것은 조팝나무, 벤치 아래로 도토리를 던지던 저것은 갈참나무. 기억의 관성으로 알아봐 주든 말든 나무는 일 없다.

눈 감은 나무들한테서 한 수 배운다. 초록을 다투던 아우성, 덜 거둔 열매의 자책을 접은 완전평화의 시간. 새 계절을 기다리며 조용히 패를 섞는 익명의 시간. 칠엽수가 갈참나무에게 내가 더 푸르지 않았느냐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 그저 위안의 시간.

묵은해의 마지막 날. 빈 마음 빈 그릇이 돼 본다. 겨울나무 아래에 섰다고 봄이 급할 일 없다. 그만하면 됐다, 잘 버텼다, 위로 먼저 해줄 시간이다.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5-12-3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