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자주 잠을 설치는 건 열대야 때문만이 아니다. 카카오톡이니 밴드니 하는 스마트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알림음 소리에 잠을 깨기 일쑤다. 시도 때도 없이 들어오는 SNS 메시지에는 지인들이 보낸 음악에서부터 건강관리 팁까지 고마운 정보가 적잖지만, 때로는 성가시게 하기도 한다.
얼마 전 어느 국회의원이 퇴근 후 SNS로 업무를 지시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국민의 일상생활까지 법으로 통제하려 든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오죽하면 그런 법안을 만들려고 했겠나 싶기도 하다. 어느덧 우리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에 살게 됐다. 이른바 ‘초연결 사회’에 말이다.
하지만 편리함만큼 드리운 그늘도 짙어지고 있다. 미국의 한 학자는 “‘과잉 연결’ 또는 ‘연결 과잉’은 통제 불능 등과 같은 수많은 부작용을 낳으면서 사회 전체를 파멸의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과장된 우려일지도 모르겠다. 다만 그의 말이 아무 근거 없는 엄살만은 아님은 무차별적으로 파고드는 스팸메일과 SNS를 통해 폭포수처럼 쏟아져 들어오는 마케팅 광고를 접하면서 새삼 실감하게 된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얼마 전 어느 국회의원이 퇴근 후 SNS로 업무를 지시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국민의 일상생활까지 법으로 통제하려 든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오죽하면 그런 법안을 만들려고 했겠나 싶기도 하다. 어느덧 우리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에 살게 됐다. 이른바 ‘초연결 사회’에 말이다.
하지만 편리함만큼 드리운 그늘도 짙어지고 있다. 미국의 한 학자는 “‘과잉 연결’ 또는 ‘연결 과잉’은 통제 불능 등과 같은 수많은 부작용을 낳으면서 사회 전체를 파멸의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과장된 우려일지도 모르겠다. 다만 그의 말이 아무 근거 없는 엄살만은 아님은 무차별적으로 파고드는 스팸메일과 SNS를 통해 폭포수처럼 쏟아져 들어오는 마케팅 광고를 접하면서 새삼 실감하게 된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6-07-29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