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모과차/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길섶에서] 모과차/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함혜리 기자
입력 2016-11-30 20:40
수정 2016-11-30 2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원도 바닷가 마을에 갔다가 모과를 한 광주리 얻었다.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고 했던가. 종자가 원래 그런 것인지 모양이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한 게 참 못생겼다. 생기긴 그래도 향기가 좋고, 농약 한 방울 치지 않은 것이라서 서울 집으로 가져왔다.

무엇을 할까 생각하다가 모과차를 만들기로 했다. 그런데 막상 칼로 자르려고 해 보니 너무 단단해서 칼이 들어가지도 않는다. 모과는 작두로 잘라야 한다더니 그래서 그런 거였다. 욕심 같아선 가져온 모과를 모두 다 차로 만들고 싶었지만 겨우 3개만 자르곤 포기했다. 깍두기 크기만 하게 자른 모과를 하룻밤 말린 뒤 병에 담고 설탕을 듬뿍 뿌려서 뚜껑을 덮고 흐뭇한 기분으로 뒷 베란다에 내놓았다.

2주가 지나고 뚜껑을 열어 봤다. 무슨 영문인지 술 냄새가 났다. 모과차를 담그려 했는데 모과주가 되다니. 난생처음 시도한 모과차는 실패로 끝났다. 뭐가 될지 모르지만 그 위에 설탕을 더 뿌리고 다시 뚜껑을 닫았다. 남은 모과로 다시 도전해 볼까도 생각 중이다. 아무튼 앞으로는 모과차를 정말 고마운 마음으로 마시게 될 것 같다. 그 어려운 과정을 알기에….

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lotus@seoul.co.kr
2016-12-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