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연하 인사/박건승 논설위원

[길섶에서] 연하 인사/박건승 논설위원

박건승 기자
입력 2017-01-03 23:04
수정 2017-01-04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유년 새해 카톡 연하 인사를 하다 놀란 사실 하나. 대화방에 1년 전 지인들과 주고받았던 연하 인사만 달랑 걸려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 인맥 관계의 부끄러운 일단을 들켜 버린 것 같아 뜨끔하다. 마치 못 볼 것을 본 듯 당혹, 민망 그 자체다. 1년 전의 연하 인사라? 최소한 그 뒤 서로 카톡 연락 한번 하지 않고 지냈다는 소리 아니겠는가. 자주 연락 드리겠다는 말이 낯없을 따름이다. 여러 사람에게 같은 인사말을 동시에 전송하는 일이 왠지 예의가 아닌 듯해서 가급적 맞춤형으로 보냈지만 말미에는 대부분 ‘자주 연락 드리겠다~’는 말을 붙였다. 한 해 전의 연하 인사에 포개어 새 인사를 보내야 하는 이 난감함이란?

내년부터는 손으로 꼭꼭 이름을 눌러쓴 아날로그 연하장을 보내 볼까 하는 궁리도 잠시 해 본다. ‘흔적’ 남기는 카톡을 괜스레 핑계 삼으려는 심산에서다. 그렇지만 카톡은 아무런 잘못이나 죄가 없다. 지인들의 주소를 일일이 알 길 없으니 아날로그 연하장을 보내는 것도 난망한 일이다. 정초에 얻은 깨달음 하나. 올해부턴 카톡 ‘연하 인사장’만이 아닌 ‘연중 인사장’을 만들어 지인들에게 무시로 보내야겠다는 것.

박건승 논설위원 ksp@seoul.co.kr
2017-01-0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