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한복/박홍기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한복/박홍기 수석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7-03-05 18:04
수정 2017-03-05 18: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복궁 근처엔 곱게 한복을 차려입은 젊은이들이 많다. 친구들끼리, 연인들끼리 한복 차림으로 거리를 활보하고 있다. 도포에 갓을 쓴 총각, 한복에 댕기머리를 한 아가씨는 평범한 편이다. 기생처럼, 임금처럼 색다른 차림의 젊은이들도 눈에 띈다. 한복을 입은 외국인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누가 시작했는지 모르겠지만 괜찮은 발상이다. 생활 속에서 접하는 개량 한복과는 다른 분위기다. 고궁과 아름다운 한복의 조화가 보기 좋다. 추석이나 설 때나 볼 수 있었던 한복이 관광 상품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유행일 수 있다. 하지만 젊은이들의 한복에 대한 사랑 같아 좋다. 한복의 부활이다.

경복궁을 둘러보던 미국인 부부가 “한국의 예스러움을 느낀다”고 했다. 한복으로 단장한 젊은이들에게 “같이 사진을 찍을 수 있느냐”고 말을 건넸다. 그리고 카메라를 보여 환하게 웃었다. 생각해 보니 한복을 언제 입어봤나 싶다. 결혼한 뒤 명절에 두세 번, 꽤 됐다. 장롱 속의 한복이 언제쯤 다시 빛을 볼 수 있을까. 장담하기 어렵다.

박홍기 수석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7-03-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