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급훈/박건승 논설위원

[길섶에서] 급훈/박건승 논설위원

박건승 기자
입력 2017-04-30 22:16
수정 2017-04-30 23: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스로 깨면 병아리, 남이 깨면 프라이’. 어느 고3 교실의 급훈(級訓)이란다. 무릎을 탁 치게 한다. 촌철살인이다. 초?중학교 시절 교실 칠판 위에 걸렸던 급훈은 으레 그 자리에 있는, 백지에 검은 정체(正體)를 담은 ‘빛바랜 액자’일 뿐이었다. 해가 바뀌어 새 학생과 선생님이 들어와도 변함이 없었다. 아무리 애써 봐도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다. 아마 ‘최선을 다하자’거나 ‘하면 된다’는 것쯤이 아니었을까.

요즘엔 ‘오늘 흘린 침은 내일 흘릴 눈물’이라거나 ‘창밖의 선생님 지켜본다’, ‘엄마도 계모임에서 말 좀 해보자’와 같은 급훈은 철 지난 축에 든다고 한다. 그 자리를 ‘눈 떠’라거나 ‘미(美)쳐보자’, ‘쟤 깨워라’와 같은 임팩트 넘치는 급훈이 대신하는 모양이다. ‘칠판 보기를 공유 보듯’,‘교과서는 여자친구’?. 학생들과 선생님이 머리를 맞대고 정해서인지 내용이 톡톡 튄다.

‘더이상 미룰 수 없다. 너의 대학 나의 결혼’. 어느 노총각 선생님이 제자들의 대입 성공과 자신의 결혼을 함께 기원하며 만든 급훈이란다. 그 선생님과 학생들의 꿈이 올해에는 꼭 이뤄지길! 전국의 모든 고3들의 소망도 함께.

박건승 논설위원
2017-05-0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