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잠 잘자는 복/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잠 잘자는 복/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7-10-08 17:52
수정 2017-10-08 17: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변을 보면 의외로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학창 시절에는 잠이 너무 많아 어머니가 깨워 주지 않으면 일어나지 못했던 A씨는 성인이 된 이후 잠 못 이루는 밤으로 고생한다. 안정되지 않은 직업과 불규칙한 생활을 원인으로 꼽는다.

반면 B씨는 정시에 출근하고 퇴근하는 샐러리맨이다. 그런데도 수면제의 도움을 받아야 잠드는 생활을 한 지가 4, 5년 됐다. 그동안 과중한 업무와 직장 상사와의 불화 등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예민한 성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불면증이 된 것 같다.

그들이 잠을 잘 자기 위해 애를 쓰는 모습은 옆에서 보기에 딱할 정도다. 피곤해 곯아떨어지도록 열심히 움직여도 보고, 피톤치드가 나온다는 베개와 수면 안대도 사용해 보고 백방의 노력을 다하지만 여간해서 나아지지 않는 모양이다. 얼마 전 ‘삶의 행복지수’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이 꿀잠이라는 영국의 한 설문조사를 봤다. ‘잠을 잘 잔다’는 이들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다는 얘기다. 돈이나 소득보다 사람의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잠. 푹 잘 수 있는 것만도 큰 복(福)이다.
2017-10-0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