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방어회 값/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방어회 값/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8-01-02 22:44
수정 2018-01-03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해 첫날. 마음을 새롭게 다잡을 겸 동네를 한 바퀴 돌고 오니 속이 헛헛하다. 모처럼 아이들까지 모였다며 아내가 수산시장에서 생선회를 떠 오란다.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이 많은가 보다. 텅 비었으려니 하고 달려간 가락시장이 제법 손님들로 북적인다. 수산물 코너마다 어른 팔뚝만 한 대방어를 내놓고 손님들을 유혹한다. ‘맞아, 방어가 제철이지.’

목소리 큰 호객꾼에 이끌려 걸음을 멈춘다. 몇 분이 드실 거냐기에 네 사람이라고 하니 8만원만 내란다. 시장에선 흥정이 제맛이라고 했지 않나. 용기를 내 7만원에 달라고 해 본다. 호객꾼은 멍게와 석화 몇 개를 덤으로 준다며 8만원을 고수한다. 흐뭇하다. 호기롭게 “오케이”를 외친다.

가게로 들어가는 호객꾼이 내가 뒤따라 가는 줄 몰랐나 보다. 가게 안을 향해 “방어 7만원, 멍게, 석회 만원”이라고 덤덤하게 내뱉는다. 차라리 못 들었으면 좋았을 뻔했다. 새해 첫날부터 따질 수도 없고. 방어 만 원어치만 손해 봤다. 물건값 깎는 아내 뒤에서 항상 주뼛거리던 샌님이 나선 게 잘못이다. 흥정은 아무나 하나.

sdragon@seoul.co.kr
2018-01-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