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마음먹기 나름/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마음먹기 나름/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9-08-20 17:18
수정 2019-08-21 0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절집에서 하룻밤 잤더니 밤새 귀가 호사를 했다. 계곡 물소리에 묵은 귓바퀴가 씻겼다. 많도 적도 않게 내린 비에 계곡물이 알맞게 불어 물소리는 담담하고. 때맞춰 잘 왔다는 스님 덕담을 듣고서 간밤에는 맑은 잠을 청했다.

산방에는 있는 것보다 없는 것들 천지다. 단출한 물건들은 요긴한 대접을 받는다. 달랑 한 권 꽂힌 책은 한 줄 한 줄 아껴서 읽게 되고, 미지근해서 줘도 안 먹었을 물 한 통은 사막에서처럼 달고.

스님 고무신을 따라 발소리 말소리 없이 뒷마당을 걷는다. 좁은 공간이 무슨 포행 길이 되려나, 괜한 걱정을 했다. 이 끝에서 저 끝으로 다시 이 끝으로. 걸음을 쪼개 잠자코 걸었더니 작은 마당은 실컷 걷고도 남았다. 구비구비 산길을 욕심내지 않아도 되는 거였다.

무릎이 부딪치는 작고 누추한 방에서라도 몸만 돌려 앉으면 동서남북이 바뀐다 했지. 생각을 바꾸면 보이는 것들의 명암이 달라진다고, 없던 창문이 열린다면서. 조선 후기 문장가 이용휴의 ‘살구나무 아래 집’(杏嶠幽居記)에서 읽었던 오래된 글이다.

남들 다 아는 이치를 겨우 생각하고서 나는 혼자 득의만만. 하늘에 뜬 저것은 해인지 낮달인지. 마음 놓고 졸음에 잠겨 보는 늦여름 산사의 아득한 오후.

sjh@seoul.co.kr

2019-08-21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