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설피밭 통나무집/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설피밭 통나무집/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19-12-12 17:14
수정 2019-12-13 02: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처음 그 통나무집을 찾아가는 길은 멀고도 험난했다.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설악산과 연접해 있는 점봉산(1424m) 자락, ‘천상의 화원’이라는 곰배령(1164m) 초입, 수백 미터를 걸어도 겨우 인가 한 채 나올까 말까 한 오지 중의 오지였다. 사단급 부대가 있는 현리부터는 울퉁불퉁 비포장길이 20㎞ 넘게 이어졌다. 눈이 많기로 손꼽히는 땅이어서 한겨울에는 오갈 엄두를 못 내는 곳이었다. 발을 떼면 허리춤까지 눈 속에 파묻혀 설피 없이는 오도 가도 못 했다.

용기를 내 가족들을 태운 채 빙판의 비포장 고갯길을 위태롭게 오르내리며 힘겹게 찾아간 곳은 하지만 천상낙원이었다. 무념무상, 세상사를 잊을 수 있었다. 주인장의 24시간 권주사 덕분이기도 했겠지만 말이다. 그 정경에 반해 매년 여름과 겨울, 틈날 때마다 찾았다.

어디 영원한 게 있을까마는 몇 년을 해외에서 보낸 뒤 다시 찾은 그곳은 예전 풍경과 사뭇 달랐다. 번듯하게 아스팔트로 포장돼 승용차는 물론 45인승 대형버스까지 무시로 드나들었다. 한술 더 떠 얼마 전부터는 길을 넓힌다고 열목어, 어름치, 가재 등이 놀던 천혜의 계곡까지 파헤치고 있다. 산을 사랑했던 통나무집 주인 부부는 진즉 떠났다. 이제 설피밭 통나무집은 추억 속 풍경일 뿐이다.

2019-12-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