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단체 대화방/이지운 논설위원

[길섶에서] 단체 대화방/이지운 논설위원

이지운 기자
입력 2020-03-26 20:32
수정 2020-03-27 02: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모든 게 적응까지 상당한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 ‘단체 대화방’도 그랬다. ‘소리´는 애당초 없앴다. 문제는 ‘숫자´. 휴대폰, 컴퓨터 화면에 남아 있는 ‘숫자´를 유난히 못 견디는 이들 중 하나이다. 뭔가 대답을 해 줘야 하지 않나 하는 부담감에서인가보다. 그래도 중소 규모라면 문제없다. 100명 넘는 방에 처음 초대됐을 때는, 숨이 막혔다. 탈출하고 싶은 충동이 솟구쳤지만 그럴 용기도 없었다. 하나둘씩 방을 뜰 때 ‘따라 나가야 하는데’ 하면서도 주저앉곤 했다. 그리고 인내하고 적응한다. 지금은 100명쯤 되는 방도 몇 개 되고, 50명 이상 되는 방도 적지 않다. 견딜 만하다.

단체 대화방은 또 하나의 세상이다. 특별한 적응 능력이 필요하다. 1대1 메신저와는 확연히 다르다. 때를 맞춰야 하고, 수위를 조절해야 하며, 누군가를 적당히 거들어 줘야 할 때도 있다. 특별한 표현도 잘 숙지하고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과 기호’에도 익숙해져야 한다. 늘 어렵다. 무엇보다 ‘말은 주워 담을 수 없다’는 격언을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공간이다. ‘삭제’ 기능이 추가됐지만 누군가는 그걸 보곤 한다. 재택근무의 한 현상인지, 단체방에서 수다가 많아졌다. 그럼에도 무작정 대화를 흘려보내는 방이 있다. 내 세상이 아닌가 싶다.

2020-03-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