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오래된 것들/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오래된 것들/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1-03-04 20:20
수정 2021-03-05 0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초(定礎) 1962년’. 60년 전에 주춧돌을 놓았다는 건물의 표식에 눈길이 꽂힌다. 오래된 건물은 조금 손을 본 듯하지만 변함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사람들은 새집, 새 옷, 새것만 찾는다. 깨끗하고 낡지 않은 새것은 물론 좋다. 그러나 헌것에서 느낄 수 있는 정(情)과 연륜과 역사가 없다.

헌것들은 무자비하게 파괴되고 버려진다. 그 속에 담겨 있던 세월과 인생 여정도 함께 사라져 버린다.

대학 교정엔 생경한 새 빌딩과 구조물들이 가득했다. 한 귀퉁이의 빛바랜 건물이 아니었다면 학창 시절의 추억을 불러내지는 못했을 것이다.

수십년 전에 어느 작업자의 손에 의해 붙여졌을 지하철 승강장의 누런 타일조차 내게는 하찮은 것으로 보이지 않는 것은 그런 까닭에서다.

손때 묻은 책과 변색된 사진이야 말할 것도 없고 한때 잘 입었던 옷가지 몇 벌도 오래 간직하고 싶다.

사람이야 무슨 말을 더 하겠는가. 오래 사귀었을수록 허물도 없고 부담도 없고 이해관계도 없다. 오래된 친구와 친한 데에는 이유가 없다. 그냥 좋다.

흘러간 노래를 다시 부르고 듣는 것도 그 노래들이 오래됐고 오래전 기억을 소환해 주기 때문이 아닐까.

sonsj@seoul.co.kr
2021-03-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