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알아야 면면장/임병선 논설위원

[길섶에서] 알아야 면면장/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4-26 20:24
수정 2021-04-27 0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알아야 면장을 한다’는 속담은 어디에서 유래한 건가요?” 서해 5도를 돌아보던 한 교수가 의문을 던졌다. 한 섬의 면사무소에 들어가면서였다. 일행 중 누구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면장(面長)으로 혼동해 일제 시대 가장 낮은 직급의 벼슬이라도 하려면 아는 것이 제법 있어야 한다, 이렇게 멋대로 의견을 모았다.

한 달 뒤 다른 섬 면장을 만나는데 새로 합류한 교수가 제대로 일러줬다. 논어의 면면장(免面墻)에서 유래했단다. 공자가 아들 백어에게 당부하길 “사람으로서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읽지 않으면 담벽을 정면으로 보고 서 있는 것과 같다”고 했다. 주남과 소남은 시경(詩經) 305편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손꼽히는 두 편이다. 자신을 닦고 집안을 다스리며 군신의 도를 세우는 일상의 지침이 담겼다. 아둔함을 면해야 한다는 경책이 면장(免墻)에 담겼다. 서경(書經)에도 불학장면(不學墻面)이란 구절이 있다.

어떤 글을 보니 ‘인간이 무지한 것은 가까이 있는 것을 당연시하고 그 소중함을 잊고 살기 때문’이라고 했다. 두 섬의 면장님 됨됨이나 주민과 어민 대하는 태도를 비교하며 뒷얘기들을 늘어놓았는데 실은 제 얼굴에 침을 뱉은 셈이었다. 부끄러움을 절감하며 섬을 떠나왔다.

bsnim@seoul.co.kr
2021-04-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