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패딩값이 오른다고?/안미현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패딩값이 오른다고?/안미현 수석논설위원

안미현 기자
입력 2021-11-09 20:26
수정 2021-11-10 02: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백화점을 지나는데 롱패딩이 눈에 들어왔다. 추위를 많이 타는지라 절로 걸음이 멈춰졌다. 이미 롱패딩이 있다는 ‘이성’과 디자인이 다르다는 ‘감성’이 부딪친다. 이를 놓칠 리 없는 매장 직원이 재빠르게 한마디 던진다. “패딩값이 많이 올랐어요. 내년에는 더 오른대요.”

그로부터 한 달쯤 지난 요즘 ‘패딩값 급등’이라는 기사가 부쩍 눈에 띈다. 패딩에 들어가는 오리(덕 다운)와 거위털(구스 다운)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이란다. 여기에도 중국이 등장했다. 전 세계 다운의 80%는 중국에서 만들어진다. 전력난에 시달리는 중국 정부가 공장 가동을 억제하고 있는 데다 중국인들의 가금류 섭취가 줄면서 다운 공급이 줄고 있다고 한다. 내년 겨울 성공적인 베이징올림픽 개최를 위해 중국 정부가 에너지 절약에 힘을 쏟고 있어 당분간 공급 회복은 난망이라는 관측도 곁들여졌다.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중국의 영향력에 새삼 심란해진다. 그보다 더 앞서 스친 것은 제조든 판매든 현장에서는 일찌감치 간파한 ‘현상’을 정작 정부나 언론이 뒤따라가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었다. 요소수만 해도 현장의 목소리에 제대로 귀를 기울였다면 여기까진 오지 않았을 것이다. 판매원의 귀띔을 꼬드김 상술 정도로 치부했던 게 괜히 미안해졌다.

2021-11-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