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붕세권/안미현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붕세권/안미현 수석논설위원

안미현 기자
입력 2021-12-29 17:16
수정 2022-01-16 16: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길을 가다가 붕어빵 노점과 맞닥뜨렸다. ‘최애 간식’을 발견한 기쁨에 한달음에 다가섰다. 앗, ‘천원에 두 마리’. 나도 모르게 “작년엔 세 마리였는데…”라고 중얼거렸다. 눈치 빠른 주인이 푸념을 쏟아 낸다. “아, 밀가리(밀가루)가 을매나 올랐는지 몰라. 밀가리만 올랐게? 팥값도 엄청 올랐어.” 그러더니 기어코 한마디 더 붙인다. “이 장사도 올해까지만 하고 내년에는 접어야겄어.”

천원 한 장 내밀면 종이봉투가 두툼했던 시절이 있었건만 두 마리를 고이 받아 들고 돌아섰다. 붕어빵 애호가는 머리파와 꼬리파로 나뉜다. 머리부터 공략하는 사람, 꼬리부터 공략하는 사람. 김이 모락모락 나는 붕어빵을 손에 들고 ‘머리냐 꼬리냐’를 고민하던 한 사람으로서 사라져 가는 붕어빵이 아쉽기만 하다.

재료값이 올라서인지 아니면 사람들의 입맛이 변해서인지 요즘 붕어빵을 찾기가 힘들다. 그래서 ‘가슴속 3천원’ 같은, 붕어빵 파는 데를 알려 주는 앱까지 등장했다. 붕세권(붕어빵+역세권)도 알려 준다. 앱이 업데이트되는 속도보다 노점이 견디지 못하는 속도가 더 빨라 때론 ‘불일치’도 발견된다.

새해에는 물가가 더 오른단다. 세 마리 운운하는 손님을 원망스럽게 쳐다보던 붕어빵 주인은 내년 겨울에도 리어카를 끌고 나올까.

2021-12-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