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새벽 마실

[길섶에서] 새벽 마실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5-07-09 00:26
수정 2025-07-09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아이가 낮잠을 퍼지게 자더니 새벽 내내 바닥을 굴렀다. 잠이 못 들기는 매한가지. 나도 더워서 깨고는 다시 잠을 못 이루던 차였다. 이럴 거면 차라리.

“나가자.” 아이 눈이 반짝였다. ‘공범’의 눈빛이다. 현관문을 닫고 살금살금 탈출. “엄마, 우리 도둑 같아.” 틀린 말도 아니다. 그 새벽 우리는 잠을 훔친 도둑이었다.

공원에 차를 세웠다. 아이는 그네 쪽으로 뛰었다. 끼익 소리 날까 마음 졸이며 한참 타고도 집에 가긴 아쉽다.

“한강 갈까.” 다시 달려 도착한 한강에 새벽 조깅족이 보인다. 짐짓 우리도 계획 세워 나온 사람인 양 행세하다 내려다보니 이런, 슬리퍼 차림이다. 집으로 돌아오다 아까 봐 둔 국밥집에 들렀다. 동트기 전 식당은 뜻밖에도 붐볐다. 밤새 버스킹을 했는지 가게 앞에서 기타를 튕기는 사람, 그 시간에도 소주 한 병을 추가로 주문하는 사람, 그냥 새벽 해장하러 온 사람들과 섞여 앉았다.

7월 초에 찾아온 열대야. 이상기후마저 덤벼드니 잠 못 드는 날이 더 많아질 것 같다. 겁나지 않는다. 더위야, 덤벼라. 이렇게 새벽 마실을 다니면서라도 사뿐히 넘어 줄 테니.
2025-07-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