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서류들을 정리하다가 4년 전 떠난 집 주소가 적힌 보험증권을 발견했다. 누수 등 가족들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배상책임에 대한 보험인데 해당 주택 소재지였다. 지금은 낯선 주소다.
보험사에 전화해 바꾸겠다고 했다. 담당 보험설계사를 통해서만 가능하단다. 설계사와의 마지막 연락은 3년 전 가족 일부의 실손보험을 새 상품으로 전환했을 때다. 그때도 지금 집에 살았는데 왜 안 바꿨을까.
연락된 설계사는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에 살고 있다면 상관없다고 했다. 그제서야 3년 전 바꿔 달라는 요구에도 그렇게 답했다는 사실이 기억났다. 계약자가 정확히 하겠다는데도 해태하는 설계사가 왜 필요할까. 그런 설계사 유지에 내 보험료가 1원이라도 쓰일 거라고 생각하니 억울한 생각마저 든다. 해당 보험의 보험금 청구는 가족들이 스마트폰으로 한다. 보험금 청구하고 반나절 만에 보험금을 받은 경우도 종종 있다.
스마트폰으로 보험상품을 비교해서 가입할 수 있는 시대다. 복잡한 보장 내용, 약관 설명 등 설계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기존 계약자가 관련 사실을 증명하면 보험금을 주듯이 주요 정보를 설계사를 거치지 않고 직접 바꿀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다.
월말이라 마감 때문에 바쁘다며 다음주에 하겠다던 설계사는 3주가 지나도록 연락이 없다. 바꿨는지 여부는 연락해서 물어봐야 한다. 짜증스러운 일이다.
2025-11-20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