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년 전 미국에서 워싱턴 특파원으로 일할 때다. 미국 공립 초·중학교 학부모들이 학교 운영에서부터 특별활동, 자원봉사 지도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딸이나 아들이 참여하는 특별활동을 1학기 또는 1년 동안 지도하는데 열정이 대단하다 싶었다. 대학 갈 때 에세이에 한 줄 걸치기 위한 의도가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어릴 때부터 자원봉사를 강조하고 솔선수범하는 모습은 배울 점이 많았다.
미국에서도 부모들이 나서 동아리를 만들어 주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특히 대입을 앞둔 고교생 부모가 그렇다. 특색 있는 활동을 최소 2~3년 지속적으로 해야 ‘스토리가 있는 에세이’를 작성할 수 있어 학년별로 구성원을 안배해 일종의 품앗이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신문에 활동 기사가 나면 더욱 좋다. 부모의 ‘네트워크’는 당연히 큰 도움이 된다. 교육열이 높은 유대계 부모들의 열정은 아시아계 부모는 저리 가라 할 정도라 했던 한국계 엄마들의 말이 생각난다. ‘저렇게까지 해야 하나.’ ‘도와주지 못하는 부모는 어떡하라고.’ 그때 내뱉었던 말들이 떠오른다.
그런데 그게 미국만의 얘기가 아니다. 대학 입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 비중이 높아지면서 한국에서도 학부모들의 동아리에 대한 높은 관심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학교에서 지원하는 동아리 활동 말고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끼리 새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하는 ‘자율동아리’가 특히 그렇다. ‘엄마 동아리’로 불릴 정도로 엄마의 네트워크와 역할이 중요하다. 실력이 비슷한 학생들을 모으고, 적극적으로 지도해 줄 학교 선생님을 ‘선점’하기 위한 학생·학부모들 간 경쟁이 장난이 아니란다. 학원들은 그 와중에 동아리 개설 방법 특강까지 한다니 기가 막히다.
교육부의 ‘2016년 고등학교별 동아리 활동현황’을 보면 전국 고교 2350곳 중 자율동아리가 아예 없는 곳부터 285개를 둔 학교까지 천양지차다. ‘자율동아리’는 학교간, 개인간 양극화 논란과 함께 학생부종합전형의 공정성 문제까지 불러일으켜 개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대학입시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 중인 교육부가 말도 탈도 많은 학생부의 신뢰도 제고 방안의 하나로 자율동아리 활동을 기재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과열 경쟁과 사교육을 부추긴다는 우려로 다양한 동아리 활동이 위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학생부에 기입할 스펙의 한 줄로 전락한 동아리 활동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학과 중 특별활동과 방과 후 활동을 통해 학생들 요구를 수용하는 방법을 찾는 게 정도다.
그런데 그게 미국만의 얘기가 아니다. 대학 입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 비중이 높아지면서 한국에서도 학부모들의 동아리에 대한 높은 관심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학교에서 지원하는 동아리 활동 말고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끼리 새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하는 ‘자율동아리’가 특히 그렇다. ‘엄마 동아리’로 불릴 정도로 엄마의 네트워크와 역할이 중요하다. 실력이 비슷한 학생들을 모으고, 적극적으로 지도해 줄 학교 선생님을 ‘선점’하기 위한 학생·학부모들 간 경쟁이 장난이 아니란다. 학원들은 그 와중에 동아리 개설 방법 특강까지 한다니 기가 막히다.
교육부의 ‘2016년 고등학교별 동아리 활동현황’을 보면 전국 고교 2350곳 중 자율동아리가 아예 없는 곳부터 285개를 둔 학교까지 천양지차다. ‘자율동아리’는 학교간, 개인간 양극화 논란과 함께 학생부종합전형의 공정성 문제까지 불러일으켜 개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대학입시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 중인 교육부가 말도 탈도 많은 학생부의 신뢰도 제고 방안의 하나로 자율동아리 활동을 기재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과열 경쟁과 사교육을 부추긴다는 우려로 다양한 동아리 활동이 위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학생부에 기입할 스펙의 한 줄로 전락한 동아리 활동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학과 중 특별활동과 방과 후 활동을 통해 학생들 요구를 수용하는 방법을 찾는 게 정도다.
2018-02-0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