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그제 아부다비 정상회담에서 ‘바라카 모델’을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인공지능(AI) 기반 원전 효율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포괄적 전략 에너지 파트너십’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바라카 모델은 2009년 한국이 22조 6000억원에 바라카 원전 건설을 수주한 사업 모델을 이르는 말이다. 한국의 첫 해외 원전 수주로 4기 모두 지난해 준공을 마쳤다. 그런데 경제적 성과를 두고 평가가 엇갈린다. 우선 당초 2020년 예정이었던 완공이 4년 늦어지면서 비용이 폭증한 게 문제로 꼽힌다. 한국전력의 올해 상반기 재무제표에 따르면 바라카 사업의 적자는 349억원, 누적 수익률은 마이너스 0.2%를 기록했다. 수출 과정에서 한국 원전 산업의 구조적 취약점도 드러났다.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지식재산권을 무기로 총 186억 달러 규모인 바라카 원전 사업에서 20억 달러를 챙겼다. 이는 올해 체코 원전 수주 과정에서 재연된 지재권 분쟁의 단초가 됐다.
하지만 바라카 모델의 진정한 성과는 재무제표 밖에 숨어 있다. 원전 강국들과의 치열한 경합에서 치른 바라카 원전 시장 ‘진입료’가 없었다면 체코 원전 등 유럽 진출은 꿈을 꾸는 일조차 불가능했다. 수출입은행 주도 대주단이 프로젝트파이낸싱 역량을 구축한 것과 더불어 향후 60년 동안 원전 운영과 정비로 벌어들일 54조원의 수익도 큰 성과다.
더 중요한 건 양국 관계의 질적 변화다. 원전 협력과 아크부대 파견을 계기로 UAE는 한국의 확실한 중동 지역 우방이 됐다. 보수와 진보 정권을 가리지 않고 최고위급 교류가 이어진 데 이어 ‘100년 동행’을 약속하는 특별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이르렀다.
바라카 모델은 보수 이명박 정부에서 시작해 진보 이재명 정부가 확대 계승하는 초당적 협력의 모범 사례가 됐다. 서울에선 요원한 정치적 협치가 아부다비 사막에서 활짝 꽃을 피웠다.
2025-11-20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