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5중전회>시진핑, 군사위부주석에 오르나

<中 5중전회>시진핑, 군사위부주석에 오르나

입력 2010-10-13 00:00
수정 2010-10-13 09: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남 김정은이 북한 권력의 후계자로 사실상 확정된 것을 계기로 중국의 권력후계구도와 권력 방향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난 2007년 제17기 공산당 대회에서 차기 지도자로 사실상 낙점을 받은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후계자 자리를 완전히 굳혔거나 아니면 굳힐 것이냐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오는 15일 개막하는 제17차 당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17기 5중전회)는 이런 의혹을 확인할 수 있는 호기여서 북한에 쏠렸던 국제의 이목은 이 회의로 옮겨지고 있다.

17기 5중전회에선 시진핑 부주석이 ‘대권승계의 보증수표’로 여겨지는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지만 이에 의혹을 제기하는 분석도 있기 때문이다.

시 부주석은 이번 5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오르게 되면 자동으로 내년 3월 열리는 의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중국 중앙군사위) 부주석으로 선출된다.

중국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직은 차기 대권을 승계하기 위해 확보해야 할 필수코스이며 권력 승계의 직접적인 바로미터로 간주된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1998년 국가부주석에 임명된후 이듬해인 1999년 9월 15기 4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직에 올라 3년후 대권을 이어받을 것임을 대내외에 선포한 셈이었다.

시진핑 부주석은 그러나 권력 교체를 3년 앞둔 작년 17기 4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직을 차지하지 못해 대권가도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을 점치는 추측까지 나돌았다.

당시 공산당 대외연락부는 일부 외신을 상대로 4중전회 결과에 대한 브리핑을 갖고 “이번 회의에서 인사 변동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면서 “시 부주석의 인사 문제는 이후에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일부 비중국계 홍콩 매체들은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시 부주석이 군사위 부주석을 겸임함으로써 차기 최고지도자로 사실상 확정되는 것을 후진타오 주석 측이 저지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최근들어 이런 분석보다 더욱 관심을 끄는 관측이 베이징의 외교가에 조금씩 흘러나오고 있다. 중국 권력구조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는 관측이다.

덩샤오핑(登小平) 사후 집단지도체제로 들어선 중국의 권력구조에서 국가주석, 당총서기, 중앙군사위 주석의 3대 권력을 한 사람에게 몰아 주는 데 대한 찬반논쟁이 당내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권력분점을 통한 견제와 균형론’이 공산당내에서 고개를 들고 있다는 분석인데, 이 분석이 맞는다면 시진핑 부주석이 중앙군사위 부주석을 맡는데는 아직 시간이 더 걸릴지도 모른다고 점을 치는 소식통들도 있다.

장쩌민 전 주석도 2002년 11월과 2003년 3월에 각각 당 총서기직과 국가주석직을 후 주석 겸 총서기에게 넘겨주었으나 당 중앙군사위 주석직과 국가 중앙군사위 주석직은 각각 2004년 9월과 2005년 3월까지 유지하며 영향력을 행세했다.

장 전 주석은 작년 10월 1일 건국 60주년을 맞아 베이징(北京) 톈안먼(天安門) 광장에서 벌어진 열병식과 퍼레이드에서 국영 방송인 CCTV 중계에 후 주석 못지않게 자주 클로즈업 화면으로 부각되면서 정치적 위상을 과시했다.

시진핑 부주석이 이번 5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을 맡게 될 것이란 게 대체적인 전망이지만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고 이는 중국 권력구조에 상당한 변화가 생겼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번 회의는 공산당사에 하나의 이정표가 될지도 모른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송도호 서울시의원 “서부선 조기 착공 위한 국회 간담회 개최”

지난 4일 국회에서 서부선 도시철도 공사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담회가 개최됐다. 이번 간담회는 서부선 개통을 간절히 바라는 관악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해, 지연 원인을 면밀히 점검하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송도호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1선거구)과 김영호·박주민·김동하 국회의원, 그리고 서울시 교통기획관이 참석했다. 서부선은 서울 서북부와 서남부를 연결하는 핵심 광역 철도망으로, 특히 관악구를 비롯한 서남권 주민들의 출퇴근 시간 단축과 교통 편의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이다. 그러나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공사 일정이 계획보다 지연되면서 주민 불편이 장기화되고 있다. 송 의원은 그간 서울시의회 임시회와 각종 회의에서 서부선 사업비 현실화와 조기 개통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이번 간담회에서도 서부선의 지역적, 사회적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서부선은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서울 균형 발전과 주민 삶의 질 향상에 직결되는 사업이다. 공사 지연은 곧 주민들의 고통으로 이어지며, 이제는 국회와 서울시, 시의회가 힘을 모아 문제 해결의 전환점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간담
thumbnail - 송도호 서울시의원 “서부선 조기 착공 위한 국회 간담회 개최”

베이징=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