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몰광부 33인 생환 세계인 심금 울려”<英紙>

“매몰광부 33인 생환 세계인 심금 울려”<英紙>

입력 2010-10-14 00:00
수정 2010-10-14 15: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칠레 산호세 광산에 매몰된 광부들의 생환은 고장난 달 착륙선을 구명보트 삼아 지구로 귀환한 아폴로13호 승무원들의 이야기처럼 전 세계에 깊은 감명을 주는 탈출기라고 영국 일간 더 타임스 인터넷판이 14일 전했다.

 칠레 광부들의 구조는 40년 전 아폴로13호의 스토리처럼 팀워크와 팀원들의 불굴의 의지가 구조 기술과 결합해 성공할 수 있었다.

 이는 어두운 비극의 그림자를 눈부신 승리로 바꿨고 전 세계인들의 마음 속 깊은 곳을 움직였다.

 화재나 지진 등에서 살아남은 모든 생존자들은 인간이 살아남기 힘든 극한의 상황에서 죽음과 맞서 결국 이를 물리친다.

 이들의 이야기는 ‘과연 이런 상황이라면 당신은 무엇을 하겠는가,희망을 갖고 생존할 수 있겠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기 때문에 전설과 영화의 단골 소재가 된다.

 1970년 아폴로13호의 승무원 3명이 파손된 우주선을 타고 지구로 돌아와 영웅처럼 절뚝거리며 땅에 발을 내딛는 장면을 전 세계인이 숨죽여 지켜봤을 때처럼 이번에도 전 세계가 칠레 광부들이 지상으로 올라오는 장면을 지켜봤다.

 영국에서 산호세 광산 이야기와 가장 비슷한 탈출기로는 1950년대 에어셔 탄광에서 발생한 녹시노크 사고를 꼽을 수 있다.

 당시 13명이 사망했고,지하 30피트 갱도에 갇힌 나머지 116명은 전화를 통해 지상과 연락하면서 결국 구조될 수 있었다.이들의 생환기는 당시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생존자인 존 로버트슨 씨는 후에 “우리는 버텨 나기기 위해 콘서트를 열었고 나는 찬송가를 불렀다...우리 모두 서로 도왔다”며 칠레 광부들처럼 자신들만의 생존 메커니즘을 어떻게 개발했는지를 설명했다.

 1907년에는 사고로 호주의 한 금광에 갇혔던 광부 찰리 배리스체티가 망치로 바위를 두드리면서 광부들의 암호를 통해 지상으로 메시지를 전달했고,결국 9일 만에 구조됐다.

 영화 ‘아폴로13호’에서 비행관제센터의 진 크란츠는 “실패는 있을 수 없다”(Failure is not an option)고 말했다.

 69일간 전 세계에 방영되면서 세계인의 심금을 울린 칠레 광부들의 이야기에서도 실패는 없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