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상韓 술문화? WP ‘서울 밤샘폭음’ 소개

요상韓 술문화? WP ‘서울 밤샘폭음’ 소개

입력 2011-05-02 00:00
수정 2011-05-02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사 가기전엔 집에 못가고…3차에서 중요한 계약 성사…

“한국인들은 직장상사가 지치거나 만취해 술자리를 파하기 전에는 아무도 먼저 집에 갈 수 없다.”

미국의 워싱턴포스트가 1일 ‘서울에서의 밤샘 폭음’이란 제목으로 한국의 음주문화를 소개한 기사의 한 구절이다. 워싱턴포스트는 “한국의 음주문화는 직장생활 스트레스의 연속인 성격이 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신문은 “한국에서는 술자리가 1차, 2차, 3차까지 가는 게 다반사”라면서 “처음엔 저녁식사로 시작하지만 이것이 밤새 술집 순례로 이어지기 십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술집을 옮기며 차수를 늘려갈수록 더 가까운 사이가 된다는 얘기가 있다.”며 “종종 3차에서 중요한 계약이 성사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게슴츠레한 눈을 무릅쓰고 이 길고 살찌기 쉬운 (음주)여행을 한다.”고 했다. 신문은 “그렇게 밤새워 술을 마시면서 새벽이 다 돼 가도 그것을 ‘오늘 밤’이라고 한다.”면서 “귀가하기 위해 첫 새벽 지하철을 기다리며 추위에 떠는 취객들도 많다.”고 했다.

이어 주로 3차에 가게 되는 포장마차의 풍경을 신기한 듯 소개했다. 천장에 화장실에서 쓰는 두루마리 휴지를 매달아 놓고 냅킨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 닭발을 먹을 때 양념이 묻지 않도록 비닐장갑을 끼는 것, 깡통처럼 생긴 쇠컵에 물을 따라 먹는 것, 그리고 손님이 직접 프로판가스 가열기구를 켜서 음식을 익혀 먹는 것 등이다. 신문은 또 “한국음식 중에는 사람에게 특별한 힘을 주는 영웅 같은 요리들이 있다.”고 했다. 예컨대 감자탕은 숙취 해소에 좋고 닭발은 피부에 좋은 음식으로 간주된다는 것이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5-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