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라덴 사살로 명성 날린 美 네이비 실

빈 라덴 사살로 명성 날린 美 네이비 실

입력 2011-05-02 00:00
수정 2011-05-02 17: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기 요원들은 한국전 참전 경험도 있어

2001년 9.11 테러이후 10년간 서방의 집요한 추적을 따돌린 채 피신해왔던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을 사살하는데 미국 해군특전지원단(Navy Seals, 이하 지원단)이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해군 특수부대에 국제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빈 라덴은 파키스탄 북부 산악지대에 있는 100만달러 짜리 은신용 저택에서 아들 1명 등 4명과 함께 지원단과 미 중앙정보국(CIA)이 공동으로 벌인 작전에 저항하던 중 사살됐다.

미군은 그동안 파키스탄 당국의 정보 지원 아래 아프가니스탄과 인접한 파키스탄 부족지역에 은신해있을 것으로 보고 무인기를 동원해 폭격을 퍼부어오다 성과가 없자 결국 지원단을 동원한 것이다.

이번 작전에 투입된 지원단 요원은 20~25명으로 알려지고 있다.

해군특수전사령부 산하인 이 지원단의 기원은 2차 세계대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미 해군은 상륙작전에 앞서 상륙 장소를 정찰하고 본대의 상륙을 안내할 병사들을 양성할 필요를 느껴 1942년 육군과 함께 현 지원단의 전신격인 해군전투파괴부대(NCDU)를 만든다.

NCDU는 결국 1960년대 초 현재의 지원단으로 명맥을 잇게 된다.

2차대전 참전용사인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1961년 자국의 특수작전 부대를 강화하고자 국방예산 1억여 달러를 지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힘입어 1962년 1월 바다와 하늘, 육지로부터 작전을 펼칠 수 있는 특수 부대인 지원단이 탄생했다. ‘Seal’은 Sea Air and Land의 줄임말이다.

지원단의 초기 요원들은 해군 수중폭파반(UDT) 출신이 많다. 특히 이들 UDT 요원은 한국전쟁에 참전해 이미 다양한 경험을 한 상태였다.

지원단은 육박전과 공중 낙하, 파괴, 외국어 등을 배운다.

CIA는 지원단의 능력을 높이 사 지원단 요원들을 자주 차출해 작전을 펼치고 있다. 이런 합동작전은 베트남전쟁에서부터 시작됐다.

지원단은 군사작전 임무를 주로 수행했으나 1980년 이란 테헤란 주재 미 대사관 인질구출 작전에 투입됐다 실패하기도 했다.

지원단과 CIA 합동작전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장에서도 펼쳐졌다.

미 해군 병사와 해안경비 대원들로 충원되는 지원단은 이번에 빈 라덴 제거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명성을 더욱 떨치게 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